경기가 불황기에 접어들고 자산가치가 떨어지면서 도시가계 파산이 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지난해부터 은행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한 가계들이 대부분 빚을 갚아야 하는 시기가 다가왔지만 증시침체로 상환능력을 잃어버린 경우가 많아 IMF 직후에 이어 제2의 소비자파산 신청이 잇따를 것으로 우려된다.

13일 통계청의 10월중 소비자전망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계가 갖고 있는 자산가치가 급락해 상당수 소비자들이 파산의 위협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중인 주식과 채권 등 증권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가치(100 기준)는 올 1월 89.8에서 지난 9월 56.4, 10월 51.7 등으로 곤두박질쳤다.

통계청이 조사를 시작한 9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100을 밑돌면 6개월 전과 비교해 자산가치가 떨어졌다는 응답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송태정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최근 가계부문 부실이 다시 심화되면서 잠재적 파산상태에 몰려 있는 가계들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한빛 조흥 외환 제일 서울 신한 등 6개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액은 지난 6월말 7천62억원에서 10월 말에는 7천8백30억원으로 11%나 늘었다.

최근 급격한 경기위축에다 은행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40대 가장을 중심으로 실업자가 쏟아져 나오고 있어 내년엔 가계파산 행렬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구조조정 여파로 내년 2월까지 20만명 이상의 실업자가 추가로 발생, 내년 초엔 실업자수가 1백만명을 초과할 것이라는게 한국노동연구원의 예상이다.

여기에 가계대출과 현금서비스 확대에 치중해온 금융기관들은 부실이 늘어날 것에 대비, 대출회수에 나서고 있어 우려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유병연.박민하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