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3단계 수준의 농기계 솔루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애그테크(농업기술) 스타트업에 벤처투자자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농기계 자율주행 솔루션 '플루바 오토'를 개발한 긴트가 지난 7월 165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이번엔 신생 아그모가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농기계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한 아그모가 퓨처플레이와 농약 제조 전문업체 경농으로부터 프리 A 투자를 유치했다고 7일 밝혔다. 회사의 누적 투자유치액은 19억원 규모이다.
글로벌 농기계 업체들이 면적이 넓고 표준화된 북미, 유럽 영농 환경에 맞춰 직진 위주의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해 온 것과 달리, 국내 스타트업의 솔루션은 3단계 자율주행으로 모양이 불규칙한 아시아 농업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서울대 농생명과학창업지원센터 보육기업
아그모는 서울대학교 바이오 시스템공학 및 정밀농업 연구실에서 자율주행을 연구했던 학·석·박사 출신 연구원 5명이 2022년 창업한 팀이다. 1994년생 박승진 대표가 최고경영자(CEO)를, 1991년생 전찬우 박사가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공동 CEO를 맡고 있다. 현재 서울대 농생명과학창업지원센터 보육기업이다.
아그모는 올해 2월 자체 개발한 농기계 자율주행 솔루션의 성능을 인정받아 개인 엔젤투자자로부터 시드 투자를 받았으며, 이후 빠른 기술 고도화 및 프로덕트 상용화 속도를 증명하며 9개월 만에 후속 투자를 유치했다.
자율주행부터 작물 재배 솔루션까지
아그모는 디지털 농업의 첫 번째 단계로 기존 농기계에 부착하여 자율주행 농기계로 사용할 수 있는 ‘아그모 솔루션’을 지난 10월 출시했다. 아그모 솔루션은 다변형 농지에서 작업별 경로 생성을
"딱 한 가지 제품만 가지고 회사를 키워오다가 어느 순간 성장을 멈추는 스타트업들이 많습니다. 몰로코는 머신러닝을 통한 잠재력을 제대로 활용해 더 많은 새로운 혁신과 서비스를 만들어내려고 합니다."
안익진 몰로코 대표는 7일 서울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창립 10주년을 기념하는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렇게 강조했다. 안 대표는 “전 세계 기업들이 머신러닝 통해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영속적인 토대 만드는 게 몰로코의 목표"라고 말했다. 미국 실리콘밸리 기반의 몰로코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광고 솔루션 회사다. 2021년 시리즈C 투자에서 기업가치 15억달러(약 1조9800억원), 올해 초 2차 주식공모 당시 기업가치는 20억달러(약 2조6400억원)로 평가받았다.
안 대표가 2013년 설립한 몰로코는 성장 과정에서 한국 벤처캐피털과 글로벌 벤처캐피털에서 모두 투자를 받았다. 현재 500여 명이 전 세계 12개 지사에서 일하고 있다. 안 대표는 "올해 몰로코는 세계 최고의 머신러닝 설루션 기업으로 한 단계 도약했다"며 "(고객사로부터) 하루 5천억 건 이상의 광고 입찰을 요청받는다"고 멀했다.
지난해 매출 2억달러, 1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면서 나스닥 상장에 가장 가까운 한국계 스타트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상장을 위한 최적의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다. 안 대표는 "내년에도 경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당분간 비즈니스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흑자 상황이 아니라면 돈이 떨어져 IPO를 해야할 수도 있지만 그런 상황이 아니라 상장 시점을 고를 수가 있다"며 "가장 좋은 시점에 맞춰 IPO를 할 것”이라고 했다.
안 대표는 이날 클라우드 DSP,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 등 몰로코의
한국경제신문의 프리미엄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긱스(Geeks)가 7일 스타트업 뉴스를 브리핑합니다.
글로벌 여행 플랫폼 클룩, 2760억원 투자 유치
글로벌 여행 및 레저 이커머스 플랫폼 클룩이 2억1000만달러(약 2760억원) 규모의 시리즈E+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글로벌 투자사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 주도하에 한국의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골든비전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씨티은행과 JP모건, HSBC은행 등도 이번 투자에 참여했다. 클룩은 올해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3배 성장했으며 연간 총거래액은 이미 30억달러(약 4조원)를 돌파했다. 또 올해 초 창사 이래 처음으로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클룩 최고경영자(CEO) 겸 공동창업자 에단 린은 “클룩의 성과는 팬데믹 중에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여행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힘쓴 직원들의 노력 덕분”이라며 “여행 상품의 디지털화와 렌터카, 야외 액티비티 등 여행 상품 확장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농업 스타트업 아그모, 프리A 투자 유치
첨단 자율주행 기술을 통한 디지털 농업 솔루션을 개발하는 아그모가 퓨처플레이, 주식회사 경농으로부터 프리A 투자를 유치했다. 회사의 누적 투자 유치액은 19억원 규모다. 아그모는 서울대 바이오시스템공학 및 정밀농업 연구실에서 자율주행을 연구했던 팀이 2022년 창업했다. 올해 2월 자체 개발한 농기계 자율주행 솔루션의 성능을 인정받아 개인 엔젤투자자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후 빠른 기술 고도화 및 프로덕트 상용화 속도를 증명하며 시드 투자 유치 후 9개월 만에 후속 투자를 유치했다. 아그모는 디지털 농업의 첫 번째 단계로 기존 농기계에 부착하여 자율주행 농기계로 사용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