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구조조정 차원에서 조기 계열분리로 가닥이 잡힌 현대전자가 단기 유동성문제를 근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자금 확보에 들어갔다.

이 회사의 최고재무경영자(CFO)인 정창기 상무는 15일 "현대건설 사태로 촉발된 국내외 투자자들의 우려를 해소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내년말까지 총 3조5천억원의 자금 유동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는 먼저 미국 시티그룹과 손잡고 1조원 규모의 신디케이트론을 조달하고 이를 바탕으로 6개월이내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중 5천억원어치를 차환 발행할 계획이다.

특히 기형적인 부채 만기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해외 자본시장에서 5천5백억원을 기채방식으로 조달키로 했다.

회사측은 또 해외 영업법인 매출채권 및 수출채권의 유동화를 통해 각각 3천6백억원,6천억원의 자금 조달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보유 유가증권 및 투자자산 등의 매각으로 총 5천3백억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전자가 구체적인 유동성 확보방안을 제시한 것은 총부채(9월말 현재 8조7천8백50억원)의 73%인 6조3천5백억원이 내년말까지 몰려있어 시장에서 현대건설 사태와 맞물려 부채상환 능력에 대한 우려가 제시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가 내년 3월말까지 갚아야 할 채무는 회사채 1조7천5백42억원,금융권의 장기차입금 3천8백억원,LG반도체 인수대금중 일부인 2천억원 등 총 2조3천3백억원 가량이다.

특히 회사채 발행이 원활치 않은데다 최근들어 금융구조조정을 앞두고 은행들이 BIS(국제결제은행)의 자기자본 비율을 맞추기 위해 수출 환어음(D/A)네고를 꺼리면서 자금운용에 차질을 빚은 점도 전면적인 자금확보에 나선 배경으로 꼽힌다.

현대전자는 매출액의 85% 이상을 수출로 달성하기 때문에 신용 악화로 수출환어음네고가 어려움을 겪을 경우 현금흐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회사측은 원활한 조기 계열분리와 독립 경영을 위해선 무엇보다 재무 안정성이 중요하다는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선진 재무기법을 최대한 활용,부채 구조조정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박종섭 사장은 "이번 자금조달 계획은 2002년까지의 자금수급 사정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것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초일류 반도체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금융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는 이번에 마련한 자금조달 계획을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