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퇴출'] 하청업체들 연쇄부도 공포 .. '중소기업 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정부의 이번 퇴출기업 대상에 11개 건설업체가 포함됨에 따라 당장 3천5백여개에 달하는 하청업체들의 줄도산이 우려된다.
여기에 자재업체까지 합치면 피해를 입는 업체수는 훨씬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들 업체들은 퇴출업체들의 납품대금 상환 및 자금결제 지연으로 정부의 특단대책이 없는한 경영압박을 심하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이들 업체가 어음이나 당좌의 자금결제를 제때 못할 경우 관련업체들의 연쇄도산으로 연결돼 건설산업 기반 자체가 붕괴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당장 예상되는 피해는 퇴출대상 기업과 1차하도급관계에 있는 업체들의 부도다.
이미 납품한 자재들의 결제지연과 대금으로 받은 어음이 정상결제가 안돼 자금난이 심화될 것이 보인다.
또 이는 2,3차 하도급 업체에 대한 대금결제 중단으로 이어져 영세업체들의 부도도미노로 연결될수 밖에 없다.
각종 공사차질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미 자재 및 노임 대금 지급지연으로 전국의 아파트현장을 비롯 퇴출대상 기업들의 현장은 올스톱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들 현장이 재가동되려면 인수현장을 다른 업체가 인수해야 하는데 그때까지는 공사중단이 불가피해 입주예정자들의 피해도 우려된다.
<>. 정부는 중소협력업체에 대한 자금지원 대책을 내놓긴 했지만 중소기업들은 그나마 있었던 거래처가 없어지게 된 데 대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퇴출대상에 대거 포함된 건설회사들에 물품을 팔아오던 건자재 업체들은 상당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시화공단에서 알루미늄 섀시를 만드는 P사 L사장은 "그렇지 않아도 어음결제가 밀려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해온 기업이 퇴출돼 눈 앞이 깜깜하다"고 말했다.
그는 "퇴출기업에 물린 5억원을 못받게 되면 부도위기에 몰릴 절박한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동아건설에 레미콘을 공급해오던 S사 H사장은 "직원들 월급을 두달째 못주고 있는 상황에서 납품대금을 받을 수 있는 길이 당장 막혀 회사문을 닫는 것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또 동아건설에 인테리어 자재를 납품하던 K사 사장은 "월평균 8억원 어치씩 공급하던 물량을 지난9월부턴 2억원수준으로 줄여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면서도 "주변의 동종업체들은 수십곳이 부도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기업퇴출 보완대책으로 협력사에 신용보증 기관이 특례보증을 해주도록 하는 등 자금지원책을 발표했지만 중소기업들은 큰 기대를 걸지 않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대우자동차 협력업체인 K정밀의 L사장은 "은행에서 퇴출기업이 발행한 어음은 거들떠 보지도 않을 텐데 특례보증이 무슨 소용이냐"며 "설령 정부가 은행들에 어음할인을 독려하더라도 구조조정을 앞둔 은행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움직일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쥐고 있는 어음중 20∼30%만 건져도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거래하던 회사가 아예 사라진다는 사실에 대한 불안감도 만만치 않다.
퇴출 판정을 받은 한 워크아웃 업체에 부품을 납품하던 A사 사장은 "장기 어음을 받더라도 지금까지는 물건을 만들어 팔 곳이라도 있었는데 이젠 그 마저 없어지게 됐다"며 "앞으로 회사를 계속 꾸려나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허탈해 했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
여기에 자재업체까지 합치면 피해를 입는 업체수는 훨씬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들 업체들은 퇴출업체들의 납품대금 상환 및 자금결제 지연으로 정부의 특단대책이 없는한 경영압박을 심하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이들 업체가 어음이나 당좌의 자금결제를 제때 못할 경우 관련업체들의 연쇄도산으로 연결돼 건설산업 기반 자체가 붕괴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당장 예상되는 피해는 퇴출대상 기업과 1차하도급관계에 있는 업체들의 부도다.
이미 납품한 자재들의 결제지연과 대금으로 받은 어음이 정상결제가 안돼 자금난이 심화될 것이 보인다.
또 이는 2,3차 하도급 업체에 대한 대금결제 중단으로 이어져 영세업체들의 부도도미노로 연결될수 밖에 없다.
각종 공사차질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미 자재 및 노임 대금 지급지연으로 전국의 아파트현장을 비롯 퇴출대상 기업들의 현장은 올스톱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들 현장이 재가동되려면 인수현장을 다른 업체가 인수해야 하는데 그때까지는 공사중단이 불가피해 입주예정자들의 피해도 우려된다.
<>. 정부는 중소협력업체에 대한 자금지원 대책을 내놓긴 했지만 중소기업들은 그나마 있었던 거래처가 없어지게 된 데 대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퇴출대상에 대거 포함된 건설회사들에 물품을 팔아오던 건자재 업체들은 상당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시화공단에서 알루미늄 섀시를 만드는 P사 L사장은 "그렇지 않아도 어음결제가 밀려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해온 기업이 퇴출돼 눈 앞이 깜깜하다"고 말했다.
그는 "퇴출기업에 물린 5억원을 못받게 되면 부도위기에 몰릴 절박한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동아건설에 레미콘을 공급해오던 S사 H사장은 "직원들 월급을 두달째 못주고 있는 상황에서 납품대금을 받을 수 있는 길이 당장 막혀 회사문을 닫는 것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또 동아건설에 인테리어 자재를 납품하던 K사 사장은 "월평균 8억원 어치씩 공급하던 물량을 지난9월부턴 2억원수준으로 줄여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면서도 "주변의 동종업체들은 수십곳이 부도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기업퇴출 보완대책으로 협력사에 신용보증 기관이 특례보증을 해주도록 하는 등 자금지원책을 발표했지만 중소기업들은 큰 기대를 걸지 않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대우자동차 협력업체인 K정밀의 L사장은 "은행에서 퇴출기업이 발행한 어음은 거들떠 보지도 않을 텐데 특례보증이 무슨 소용이냐"며 "설령 정부가 은행들에 어음할인을 독려하더라도 구조조정을 앞둔 은행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움직일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쥐고 있는 어음중 20∼30%만 건져도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거래하던 회사가 아예 사라진다는 사실에 대한 불안감도 만만치 않다.
퇴출 판정을 받은 한 워크아웃 업체에 부품을 납품하던 A사 사장은 "장기 어음을 받더라도 지금까지는 물건을 만들어 팔 곳이라도 있었는데 이젠 그 마저 없어지게 됐다"며 "앞으로 회사를 계속 꾸려나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허탈해 했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