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을 최우선으로 삼아라''
예금부분보장 한도가 당초 2천만원에서 5천만원으로 상향조정됨에 따라 개인고객들의 재테크 전략에 일대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은행마다 고객에게 소개하는 재테크전략도 차별화되고 있다.
이른바 우량은행이라는 곳은 "예금부분보장제가 예정대로 시행됨에 따라 고객들은 안전성을 고려해 금융기관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
반면 비우량은행으로 분류되는 곳은 "은행들은 합병이나 금융지주회사에 편입되더라도 파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금보호에 문제가 없다"며 "금리가 높은 은행에 맡기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은행권의 1년만기 정기예금금리는 주택은행이 연 6.8%, 서울은행이 8.1%로 약 1%포인트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서울은행 관계자는 "예금부분보장한도 상향조정으로 고객들의 불안감이 많이 완화될 것"이라며 "현재의 금리를 다른 은행수준으로 낮출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고객들은 금융기관의 안전성을 중시해야 할지 아니면 다소의 위험을 감수하고 금리가 높은 금융기관을 찾아야 할지 망설이고 있다.
이미 자금을 2천만원씩 분산 예치해 놓은 고객들도 예금보호한도가 상향조정되자 다시 재테크 전략에 고심하고 있다.
이와관련, 조흥은행 서춘수 재테크팀장은 "그동안 2천만원씩 자금을 쪼개 각 금융기관에 분산시킨 고객이 많다"며 "이들 고객이 자금을 다시 합쳐 고금리를 주는 금융기관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미 예치한 자금은 중도해지이율을 적용받기 때문에 고객들이 중도해지하는 것은 불리하다"며 "오는 11월이나 12월에 만기가 되는 자금은 고금리를 주는 금융기관에 장기로 맡기는 것이 유리하다"고 진단했다.
신한은행 한상억 재테크팀장은 "예금보호한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고객들이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금융기관의 폭이 넓어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자금을 분산예치하면 주거래은행에서 주는 혜택을 받을 수 없다"며 "건전성 위주로 금융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금융계에서는 예금부분보장제 시행이 확정된데 따라 △그동안 2천만원씩 분산예치했던 자금 △단기로 맡겼던 자금 등이 서서히 움직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각 은행들은 이들 자금을 잡는 것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 보고 수신전략 마련에 바빠졌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