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벤션산업] 2005년까지 전문가 4만명 필요 .. '인력확보 어떻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컨벤션 선진국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컨벤션센터라는 물적 인프라외에 전문인력 확보도 반드시 해결돼야할 과제다.
수용시설이 확충돼도 컨벤션의 준비와 개최의 모든 단계를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인력 없이는 컨벤션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컨벤션센터 한 개당 요구되는 필요인원은 약 4천여명으로 ASEM 컨벤션센터와 제주 부산 일산 대전 대구 인천 등에 세워질 컨벤션센터를 모두 고려하면 적어도 4만명 이상의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게 업계의 추산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활동중인 국제회의전문기획가(PCO)는 약 4백여명으로 절대적으로 부족한게 현실.
특히 국내의 경우 신규회의 개발와 유치, 기획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비롯 외국어 능력과 컴퓨터 운용능력을 갖춘 국제회의 진행자 등은 크게 부족한 반면 단순 보조인력을 오히려 넘쳐나는 기형적인 인력구조를 보이고 있다.
국제회의에 필요한 인력은 전문가는 국제마케팅과 1인당 3개이상의 국제회의 관리가 가능한 실무경력 6년 이상의 A급 전문가와 국제회의 진행및 진행보조요원, 단순 일용직 등으로 세분화된다.
하지만 현재 40여개에 이르는 국내 국제회의 용역업체는 영세성으로 체계적인 인력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그야말로 인건비 빼먹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게 업계관계자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전문업종으로서의 사회적 인식이 낮아 교육프로그램도 수박겉핥기식에 그치고 있는게 현실이다.
교육기관도 교육대상에 따라 장단기로 세분화하고 컨벤션 기획과 마케팅, 의전및 동시통역, 식.음료 서비스 등으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 관련단체에서 자격증 제도와 함께 전문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인력공급과 재교육을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컨벤션분야 연합회인 CLC가 회의산업 3년 이상 경력자중 2년동안 전문교육을 이수한 자에 한해 CMP(Certified Meeting Professional)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또 일정기간 재교육을 이수한 경우에 한해 자격증 갱신을 허용하는 등 엄격한 관리를 통해 국제회의 전문가의 권위를 인정받도록 하고 있다.
민간전시협회인 IAEM에서도 전시 실무경력 3년 이상으로 일정기간 전문교육을 받은 자에 한해 CEM(Certified Exposition Management)이라는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다.
3년마다 근무지속과 재교육 이수여부를 평가, 자격증을 갱신해 주는 등 엄격하게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이러한 유형의 자격증제도를 도입, 컨벤션 분야의 사회적 인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다만 자격증 제도에 국가기관이 직접 개입, 업무의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보다는 업계가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영업활동이 우수하고 국제회의 참가자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업체에 대해 관광진흥개발기금을 지원하는 등의 각종 지원책을 제공해 전문성을 높이는 방법도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수용시설이 확충돼도 컨벤션의 준비와 개최의 모든 단계를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인력 없이는 컨벤션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컨벤션센터 한 개당 요구되는 필요인원은 약 4천여명으로 ASEM 컨벤션센터와 제주 부산 일산 대전 대구 인천 등에 세워질 컨벤션센터를 모두 고려하면 적어도 4만명 이상의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게 업계의 추산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활동중인 국제회의전문기획가(PCO)는 약 4백여명으로 절대적으로 부족한게 현실.
특히 국내의 경우 신규회의 개발와 유치, 기획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비롯 외국어 능력과 컴퓨터 운용능력을 갖춘 국제회의 진행자 등은 크게 부족한 반면 단순 보조인력을 오히려 넘쳐나는 기형적인 인력구조를 보이고 있다.
국제회의에 필요한 인력은 전문가는 국제마케팅과 1인당 3개이상의 국제회의 관리가 가능한 실무경력 6년 이상의 A급 전문가와 국제회의 진행및 진행보조요원, 단순 일용직 등으로 세분화된다.
하지만 현재 40여개에 이르는 국내 국제회의 용역업체는 영세성으로 체계적인 인력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그야말로 인건비 빼먹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게 업계관계자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전문업종으로서의 사회적 인식이 낮아 교육프로그램도 수박겉핥기식에 그치고 있는게 현실이다.
교육기관도 교육대상에 따라 장단기로 세분화하고 컨벤션 기획과 마케팅, 의전및 동시통역, 식.음료 서비스 등으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 관련단체에서 자격증 제도와 함께 전문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인력공급과 재교육을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컨벤션분야 연합회인 CLC가 회의산업 3년 이상 경력자중 2년동안 전문교육을 이수한 자에 한해 CMP(Certified Meeting Professional)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또 일정기간 재교육을 이수한 경우에 한해 자격증 갱신을 허용하는 등 엄격한 관리를 통해 국제회의 전문가의 권위를 인정받도록 하고 있다.
민간전시협회인 IAEM에서도 전시 실무경력 3년 이상으로 일정기간 전문교육을 받은 자에 한해 CEM(Certified Exposition Management)이라는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다.
3년마다 근무지속과 재교육 이수여부를 평가, 자격증을 갱신해 주는 등 엄격하게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이러한 유형의 자격증제도를 도입, 컨벤션 분야의 사회적 인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다만 자격증 제도에 국가기관이 직접 개입, 업무의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보다는 업계가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영업활동이 우수하고 국제회의 참가자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업체에 대해 관광진흥개발기금을 지원하는 등의 각종 지원책을 제공해 전문성을 높이는 방법도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