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 수준 넘어선 벤처대란설: 3만여개로 추산되는 국내 인터넷 벤처기업들이 경영난으로 도산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른바 "벤처대란설"이다.

그런데 이 달 초까지만 해도 연말 로 얘기되던 대란 발생 예상시점이 "10월"로 앞당겨지더니 지금은 또 "9월 대란설"로 앞당겨지고 있다.

그런데 벤처대란은 미국에서도 마찬가지인지,최근 월스트리트저널지는 "벤처 대란 이후의 세상"이라는 대주제 아래 다수의 현장취재 및 전망 기사들을 내놓았다.

벤처대란을 전망하는 정도를 넘어 아예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고,그 이후의 상황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는 "자연현상"이 아니라 "인간현상"이란 점에서 사람들이 벤처대란에 대해 이 정도로 믿어 의심치 않아 한다면 이는 결국 발생하고 말 것으로 우려된다.

월스트리트저널지를 들먹이지 않아도 세간의 관심은 "벤처대란 이후의 세상"에 모아지고 있다.

벤처대란은 실물과 금융 양 부문에서 국가경제 전반에 얼마나 심각한 상처를 남길 것인지,대란 후의 업계 판도는 어떻게 재편될 것인지,또 노동시장 구도는 어떻게 변할 것이며,이 때 발생할 낙오자들은 어떻게 기근의 시기를 넘길 것인지 등등이 모두 관심거리다.


<> 벤처대란의 양대 해결사: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을 비롯해 많은 관측자들이 의외로 별 관심을 두지 않고 있는 이해당사자로서 우리가 그 행보에 주목해야 할 경제주체가 둘 있다.

하나는 투자자이고,다른 하나는 정책당국이다.

이들이 어떻게 벤처대란에 반응하는가에 따라 벤처대란의 여파는 사뭇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투자자는 차기 유망 투자대상을 일찌감치 내다보고 이에 대한 공략 작전을 세워놓지 않는다면 재산상의 큰 낭패를 볼 수도 있다.

또 정책당국으로서는 벤처대란 이후의 돈길을 미리 터놓지 않는다면 심각한 실물 및 금융상의 경색현상을 자초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는 미국과 달리 시중의 부동자금이 되돌아갈 만한 튼실한 굴뚝산업도 마땅치않아 차기 유망 투자대상의 모색은 투자자만이 아니라,국가적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회사채 금리가 지표금리 역할을 오래 전에 상실했을 정도로 한국에는 갈 곳 모르는 자금이 안심하고 "파킹"할 만한 중견기업 층이 발달돼 있지 못한 것이다.

여기다 금융부문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설상가상으로 예금보호 범위도 내년 초부터 축소되기 때문에 이번 벤처대란은 또 다른 문제를 잉태할 수 있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처럼 소비위축에 따른 장기불황으로 빠져들 수 있다.

아니면 내년 외환거래 완전 자유화를 계기로 시중 자금이 대거 외국계 금융기관과 해외투자상품으로 몰릴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투자자와 정부는 벤처대란의 이해당사자이자 해결사로서 미래를 투시하고 준비하는 책임자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 요청된다.


<> 주목되는 대한상공회의소의 변신 행보: 여기서 우리는 지난 5월9일 신임회장 취임 후 조용하면서도 급속히 변신해 가고 있는 대한상공회의소의 행보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세 가지다.

첫째는 "코참넷"프로젝트다.

2002년까지 5만여 회원사들의 카탈로그를 전자네트워크로 묶고 상거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한국 최대의 기업간 전자상거래(B2B) 및 기업소비자간 전자상거래(B2C)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서울엔젤그룹"의 활성화다.

대한상의 부설기관으로서 지난해 2월 출범한 후 바로 오늘부터 본격 사업을 시작한 자영업 투자 중개기관이다.

그리고 셋째는 지난달 25일 정부에 건의한 "중소기업 가업승계 상속세 인하"제안이다.

대한상의의 이 세 가지 이니셔티브는 비록 2003년부터 회원가입이 임의 가입제로 전환하는데 따른 자체 생존전략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긴 하지만,"만인이 자영업자"가 될 미래사회에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준비가 아닐 수 없다.

신동욱 전문위원 shin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