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웹사이트는 물론 신문을 비롯한 대중 매체에서도 히트수,페이지뷰,임프레션 등 인터넷 전문 용어들을 별다른 설명없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인터넷 광고와 관련해 일반 대중들도 알아두면 좋을 용어들을 정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인들을 알면 도움이 되는 초보 용어와 웹 광고 종사자를 위한 전문 용어로 구분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초보 용어>

*임프레션(impression)

광고 노출 횟수를 의미합니다.

특히 웹사이트가 한 번 열려 배너 광고가 한번 노출된 경우를 1임프레션이라고 합니다.

*페이지뷰(Pageview)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에 이용자가 접속해 페이지의 내용이 브라우저에 한번 나타날 때를 1페이지뷰라고 합니다.

페이지뷰는 동일인이 중복 접속하여도 그 숫자가 계속 증가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히트(Hit)수

한 명의 사용자가 웹서버의 파일 하나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히트수는 흔히 웹사이트의 인기를 측정하는 잣대로 생각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어떤 사이트의 히트수가 "10"이라고 해서 10명의 이용자가 방문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히트란 서버에 있는 파일 하나에 접속한 횟수이기 때문에 한 사이트에 그림이 10개 있다면 히트수는 그림 10개와 웹 페이지 1개를 포함한 "11"로 카운트됩니다.

<전문 용어>

*CTR(Click Through Ratio)

배너 하나가 노출될 때 클릭되는 횟수를 뜻합니다.

보통은 "클릭률"이라고 합니다.

CTR을 구하는 공식은 CTR=(클릭수/임프레션)x1백입니다.

예컨데 특정 배너가 1백번 노출됐 때 3번 클릭된다면 CTR는 3%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1~1.5%가 광고를 할만 한 수치입니다.

*CPM(Cost Per Mille)

배너 광고를 1천번 노출시킬 때 소요되는 광고비용을 말합니다.

CPM은 (총비용/총임프레션)x1천입니다.

이것은 홍보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노출 횟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CPC(Cost Per Click)

이용자가 배너를 한 번 클릭할 때마다 지불해야 하는 홍보 비용을 말하며 총비용/총클릭수)입니다.

야후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이것보다는 CPM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CPA(Cost Per Action)

네티즌이 한번 반응할 때마다 지불해야 하는 광고 비용입니다.

광고를 본 사용자가 회원으로 등록하거나,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거나,설문이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등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행동을 취할 때 그 횟수에 따라 광고 비용을 책정하는 방식입니다.

*클릭 부스터(Click Booster)

클릭률이 높은 페이지로 광고 노출을 집중시켜 광고의 클릭률을 일정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앤티 번아웃(Anti Born-Out)

광고주가 지정한 횟수이상으로 배너가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입니다.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타겟 광고를 할 때 쓰이는 방법입니다.

하우인터넷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