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무역흑자 13억7천만달러 .. 산자부, 올 목표 120억달러 난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5월 무역수지가 통관기준으로 13억7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4월의 2억4천7백만달러 흑자보다 대폭 늘었지만 김영호 산자부 장관이 얼마전 예상했던 15억~16억달러 흑자엔 못미치는 수준이다.
산업자원부는 5월 수출입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수출은 1백46억9천9백만달러로 지난해 5월에 비해 28.7% 늘었고 수입은 1백33억2천6백만달러로 40.9% 증가했다고 1일 발표했다.
이에따라 월간 무역수지 흑자액은 13억7천3백만달러를 기록했다.
1~5월 흑자 합계는 21억3천8백만달러로 지난해 1~5월의 90억5천만달러 흑자에 4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연간 흑자목표 1백20억달러 달성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산자부는 5월 무역수지의 경우 원유 도입총액이 4월에 비해 3억달러 가량 줄어든데다 수입증가율도 둔화되는 추세여서 15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기대했지만 월말로 계획했던 자동차 수출이 일부 차질을 빚으면서 흑자 규모가 줄었다고 밝혔다.
김상열 무역정책심의관은 "이달은 반도체 등의 수출단가가 오름세를 보이는 만큼 원유수입이 다소 늘더라도 지난달 수준의 무역흑자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반도체가격 상승과 세계경기 호조, 국내성장세 둔화와 같은 긍정적인 요인이 있는 반면 환율불안과 불규칙한 국제유가및 원자재 가격 등의 복병도 있어 무역수지를 낙관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5월 수출입 실적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입증가율이 40.9%로 1~4월 평균증가율 50.6%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는 점이다.
총수입금액 1백33억2천6백만달러도 3월 1백42억달러나 4월 1백33억4천4백만달러보다 적었다.
산자부는 이같은 수입증가세 둔화가 원유도입단가가 4월에 비해 3달러 가량 내리고 국내경기가 안정국면에 접어들면서 수입수요가 줄고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했다.
특히 5월 1~20일 소비재 수입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0.04% 늘어나는데 그쳤다.
그러나 원자재및 자본재의 경우는 각각 46.5%와 57.4%의 높은 수입증가율을 보였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
지난 4월의 2억4천7백만달러 흑자보다 대폭 늘었지만 김영호 산자부 장관이 얼마전 예상했던 15억~16억달러 흑자엔 못미치는 수준이다.
산업자원부는 5월 수출입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수출은 1백46억9천9백만달러로 지난해 5월에 비해 28.7% 늘었고 수입은 1백33억2천6백만달러로 40.9% 증가했다고 1일 발표했다.
이에따라 월간 무역수지 흑자액은 13억7천3백만달러를 기록했다.
1~5월 흑자 합계는 21억3천8백만달러로 지난해 1~5월의 90억5천만달러 흑자에 4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연간 흑자목표 1백20억달러 달성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산자부는 5월 무역수지의 경우 원유 도입총액이 4월에 비해 3억달러 가량 줄어든데다 수입증가율도 둔화되는 추세여서 15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기대했지만 월말로 계획했던 자동차 수출이 일부 차질을 빚으면서 흑자 규모가 줄었다고 밝혔다.
김상열 무역정책심의관은 "이달은 반도체 등의 수출단가가 오름세를 보이는 만큼 원유수입이 다소 늘더라도 지난달 수준의 무역흑자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반도체가격 상승과 세계경기 호조, 국내성장세 둔화와 같은 긍정적인 요인이 있는 반면 환율불안과 불규칙한 국제유가및 원자재 가격 등의 복병도 있어 무역수지를 낙관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5월 수출입 실적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입증가율이 40.9%로 1~4월 평균증가율 50.6%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는 점이다.
총수입금액 1백33억2천6백만달러도 3월 1백42억달러나 4월 1백33억4천4백만달러보다 적었다.
산자부는 이같은 수입증가세 둔화가 원유도입단가가 4월에 비해 3달러 가량 내리고 국내경기가 안정국면에 접어들면서 수입수요가 줄고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했다.
특히 5월 1~20일 소비재 수입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0.04% 늘어나는데 그쳤다.
그러나 원자재및 자본재의 경우는 각각 46.5%와 57.4%의 높은 수입증가율을 보였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