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적으로 따져서는 높은 국내저축률은 투자재원의 자급률을 높혀 상대적으로 외환위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이는 투자가 효율적으로 이뤄졌을 때나 가능한 일이다.
외환위기전 동아시아 지역에서와 같이 부동산 제조업 설비 등에 과잉투자됐을 때는 불필요하게 경상수지 적자를 확대하게 돼 높은 국내저축률도 외환위기 방지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외환위기전 동아시아 지역의 국내저축률은 35% 수준으로 남미 및 아프리카의 20% 수준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과도한 해외저축 의존 없이도 성장을 위한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여건이 돼 있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국가들이 외환위기를 겪게된 것은 금융기능이 취약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했던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금융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다 보니 차입을 통한 중복 과잉투자가 가능했다.
차입을 통한 중복과잉 투자는 빚 상환능력 저하를 초래했고 투자자들의 신뢰상실로 이어졌다.
그 결과 투자자들이 앞다투어 투자자금을 회수해 외환위기로 발전한 것이다.
그중에서 우리나라는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는 한때 국내저축률이 39%에 달했다.
그러나 세계 어느 국가보다 금융산업의 경쟁력이 취약한데다 중보투자비율이 높아 높은 저축률이라는 장점을 잘 활용하지 못해 외환위기를 당하게 된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에도 동아시아 지역의 높은 저축률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
이런 높은 저축률을 경제발전의 기회로 활용하는 것은 효율적인 금융시스템이 전제돼야 가능한 일이다.
결국 금융부문의 구조조정이 빨리 마무리되어야 하는 것도 이런 연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