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간 대우계열사들이 하나둘 채권단 소유로
바뀔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워크아웃을 추진한 기업들도 상당수가 채권단소유로 바뀌었다.

특히 산업은행은 대우중공업과, 대우중공업이 대주주인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판매 대우캐피탈 다이너스클럽코리아 등 5-6개사의 대주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의 대주주역할은 제3자매각 등에 의해 정리할 때까지로 한시적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계열사의 헐값매각을 막기위해 이들 계열사를 채권단
관리하에 놓고 협상력을 강화하며 원매자를 찾아 나설 계획이다.

<> 대우중공업그룹의 등장 =산업은행 관계자는 13일 "대우중공업에 대한
지분은 대출금을 출자로 전환하면 현 11.19%에서 우호적인 다른 채권금융기관
지분까지 포함해 40~50%대로 이를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산업은행은 지분관계상 대우자동차 등에 대해 사실상 대주주가
된다.

이를 가리켜 금융계에선 "대우중공업그룹"로 부르고 있다.

대우중공업이 조선 기계 잔존사업부문 등 3개사로 분할되는데다 그 밑에
대우자동차 등 다른 계열사가 포진해 "그룹" 모양새를 갖추기 때문이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워크아웃에 들어간 대우 12개사중 절반을 장악한다는
의미에서 일각에선 이를 "일시적 국유화" 조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같은 산업은행의 대우중공업그룹 지배를 가속화하기 위해 채권단은 최근
대우중공업이 49.8%를 보유한 대우자동차와 대우자동차판매의 워크아웃
주관은행을 서울은행에서 산업은행으로 바꿨다.

두 회사는 출자전환이 이뤄질 경우 대우중공업으로부터 분리독립할 가능성
이 높으나 산업은행이 다른 채권금융기관의 지원을 받아 사실상의 대주주
로서 3자매각 등을 주도하게 된다.

매각 등이 성사될 때까지 이들 대우계열사는 전문경영인체제로 운영된다.

관계자는 "김우중 회장과 대우측이 지난 7월 계열사주식 등 10조원 상당의
담보를 내놔 굳이 출자관계를 따지지 않더라도 채권단이 경영을 장악하는데는
어려움이 없다"며 "김 회장의 경영권유지 여부는 채권단의 관심사가 아니다"
고 강조했다.

<> 대우자동차 등의 처리전망 =대우자동차는 기아자동차와 같은 방식으로
국내외 매각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GM이 원매자로 나서고 있지만 채권단은 GM만을 협상파트너로 생각
하지는 않고 있다.

기아자동차 매각때처럼 GM도 포드처럼 헐값인수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제값을 받을 수 있다면 다른 원매자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대우자동차는 기아자동차에 비해 해외현지법인이 많아 매각과정도 그만큼
더 복잡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채권단은 대우자동차를 비롯 대우중공업그룹사를 특정기업에 맡기지 않고
채권단이 전문경영인을 선임해 운영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전문경영인체제의 기업도 훌륭한 대안이라는 것이다.

쌍용자동차는 지분 26.98%를 보유한 대우자동차와 합병하는 방안이 추진
되기도 했으나 채권단이 독자적인 기업개선계획을 수립해 제3자 매각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주관은행인 조흥은행측은 채권단간에 3자 매각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적이 없다고 밝혀 대우자동차와 함께 일괄매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우중공업도 3사로 분할된 뒤 각각 매각될 전망이다.

대우전자는 채권단이 먼저 대우계열사지분을 인수한 뒤 나중에 정산하는
방식으로 정상화를 추진키로 했다.

다른 워크아웃기업도 비슷한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 허귀식 기자 window@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