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산업구조개편 과정에서 최대의 걸림돌이었던 한국전력 해외채무의
디폴트(조기상환) 문제가 거의 해결됐다.

정부는 그러나 끝까지 채무조기상환을 요구하는 일부 유럽계 기관에
대해서는 7억-8억달러의 차입금을 미리 갚을 예정이다.

3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정부와 한전은 미국및 일본의 채권자들과 여러
차례 협상을 벌여 디폴트조항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동의를 받아냈다.

이들은 한전이 미국에서 발행한 달러화 표시채권인 양키본드, 일본에서
발행한 엔화표시채권인 사무라이본드 등을 사들인 채권자다.

정부는 이에 따라 한전의 해외채무에 대한 지급보증을 할 필요가 없어져
전력산업구조개편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정부지급보증 조항을 빼기로 했다.

디폴트란 해외채권자들이 돈의 일시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한전의 경우 정부지분이 51% 이하로 떨어지면 적용키로 한 조항으로 발전
자회사 분할매각 때 최대 난제로 꼽혀 왔다.

산자부 관계자는 그러나 유럽 등에서 발행된 한전 채권인 유로본드를
사들인 채권자들 가운데 일부는 아직까지도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자부는 이에 따라 한전의 발전부문 분할에 동의하지 않는 유로본드
채권자들에 대한 부채는 한전의 해외자산 등을 팔아 갚기로 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유로본드 15억1천만달러 가운데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채권자가 사들인 것이 7억-8억달러 안팎이며 이를 원화로 환산하면 1조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전의 해외채무는 68억7천만달러로 양키본드가 32억6천만달러이며
사무라이 본드 10억2천만달러, 유로본드 15억1천만달러, 유로전환사채(CB)
2억8천만달러, 직접 차입한 차관 8억달러 등이다.

한편 한전의 전체 부채는 해외채무 68억7천만달러(8조1천억원), 국내차입
외화자금 3조3천억원, 국내 원화차입금 14조원 등 25조4천억원에 이른다.

< 김성택 기자 idnt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