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삼성자동차의 법정관리를 신청키로 확정함에 따라 삼성자동차는
"설비매각후 청산" 또는 "제3자 매각"쪽으로 방향을 틀어잡게 됐다.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삼성차는 법인은 청산하게
되며 부산공장 처리는 대우와 계속 협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3개월내 처리가 될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삼성자동차는 법원의 법정관리 개시결정이 떨어지면 자산을 매각하고
법인은 청산될 것이라는 얘기다.

문제는 이 방식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삼성차 처리 문제는 이제 전적으로 채권단과 법원이 알아서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대우가 여전히 삼성차 인수에 뜻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채권단은 이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우는 "일단은 지켜본 뒤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채권단은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처리해 채권을 회수하려면 적어도 1조~
1조5천억원은 받아내야 한다.

그러나 세동경영회계법인은 이미 삼성-대우간 협상 과정에서 삼성자동차는
공장을 가동하면 앞으로 10년간 자산을 모두 까먹고도 1조6백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간이 실사 결과를 내놓았다.

물론 채권단이 부산공장 회생을 위해 추가 지원에 나서면 가능하다.

공장을 자산가치만큼 인정해 대우에 넘기고 대우에 그만큼의 자금을 지원해
주는 방안이다.

정부가 대우에 넘기는게 바람직하다는 것은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의사가 있다는 해석을 불러 일으킬수 있다.

그러나 채권단의 이익을 보호해 줘야 하는 법원이 이 방법을 선택할지도
의문이다.

오히려 외국기업에 대한 매각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다.

외국기업 가운데는 삼성차에 관심을 가질 회사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시장에 현지 생산기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기술제휴선인 일본의 닛산을 비롯해 GM 도요타 등 세계 주요 기업들의
이름이 거론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은 설비를 해외에 매각한 뒤 법인을 청산하는 방법이다.

이대원 부회장은 이날 "부산 지역에는 삼성전기의 전자부품공장을 유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의 설비는 매각하고 부지는 삼성전기가 사들여 이곳에
전자부품 공장을 유치할 수 있다는 추측을 낳게 하는 부분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국내 설비가 과잉 상태에 있는 만큼 이 공장을
사들여 가동하겠다는 업체는 해외에도 없을 것"이라며 "따라서 설비를
해외에 매각하고 청산하는게 정상적인 해법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김정호 기자 jh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