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80주년을 맞아 러시아지역 한인들의 독립운동
발자취를 집중 조명하는 국제 학술심포지엄이 열린다.

광복회(회장 윤경빈)와 고려학술문화재단(설립자 장치혁 고합회장) 주최로
18일 세종문화회관 대회의장에서 열리는 제11회 국제학술심포지엄 "연해주
한인독립운동과 상해 임시정부"가 그 자리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러시아지역에서 전개된 항일 민족운동을 한국독립운동
사에서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논의한다.

러시아지역 항일운동은 이 지역 독립운동가들이 공산주의자라는 이유로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했다.

이에 대해 서대숙 연세대 교수는 "러시아 한인 독립운동가들은 공산주의
이론을 신봉해서 공산당을 조직하고 볼세비키를 지지했다기 보다는 항일운동
의 하나로 공산주의를 받아들였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그들은 볼셰비키의 도움을 얻어 일본인들과 싸울 수 있었고
레닌정부도 그들을 만나 격려하고 재정적으로 후원하기까지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러시아에서 공산혁명이 이뤄지는 동안 독립운동가들과 러시아정부는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했지만 스탈린이 정권을 장악한 1930년이후 독립운동
은 소련에 예속되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박보리스 이르쿠츠크대 교수는 "러시아 연해주에서의 한인 반일해방운동
(1910~1918)"이란 논문에서 1917년 볼세비키 혁명을 전후로 항일운동의
변천사를 조명했다.

박보리스 교수는 "볼세비키혁명이전에는 일본 정부가 한인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러시아 정부에 한인들의 체포와 유배를 요청했고 이중 일부가
이르쿠츠크에 유배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러시아정부는 일본과 동조해 한인 독립운동가들을 박해했으나
볼세비키혁명이 일어나면서 독립운동에 대한 새 전기가 마련돼 적극적인
항일운동이 펼쳐졌다"고 주장했다.

신용하 서울대 사회과학대학장은 "통합임시정부와 연해주지역 한인민족운동"
을 통해 "그동안 연해주지역의 항일운동사에 대한 고찰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했다"며 "이 지역 한인민족운동의 비중을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교수는 또 "연해주지역의 독립운동은 독자적으로 큰 업적을 냈을 뿐
아니라 3.1운동 직후 최초의 임시정부를 수립했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이밖에 박환 수원대 교수가 "대한민국의회와 연해주
지역 3.1운동"을, 윤병석 인하대 명예교수가 "러시아 혁명전후 연해주
한인민족운동과 임시정부"를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 강동균 기자 kd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6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