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한송유관공사 민영화를 당초 예정보다 6개월 앞당기기로 하고
보유중인 지분 46.5%를 민간에 완전 매각키로 했다.

산업자원부는 22일 SK LG 쌍용 현대 한화 등 정유5사와 지난 3개월 동안
협의를 거쳐 송유관공사 조기민영화 방안과 경영정상화 대책을 마련, 이를
추진키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산자부는 2000년 말로 잡힌 민영화 일정을 앞당기기 위해 보유지분을
민간주주주사(정유5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에 상반기중 매각키로 하고
매각가격 평가는 올해말까지 끝내기로 했다.

민간 주주사들은 민영화가 이뤄지면 외자유치에 적극 나서 과다한 금융비용
으로 생겨난 경영부실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산자부와 정유5사는 송유물량을 늘려야 송유관공사가 정상화된다고 보고
장기수송계약을 체결, 오는 7월부터 시행키로 했다.

이에따라 정유5사는 수도권과 중부권 물량에 대해 연도별 의무수송물량을
정하고 수송요금을 포함한 3년단위 계약을 맺기로 했다.

대형선박 등 기존 수송수단을 송유관으로 바꾸되 전환물량에 대해선
2004년까지 일반요금의 50~60%만 주기로 했다.

일반요금은 올 하반기 10%,2001년과 2003년에 각각 5%씩 올려 주고
장기수송계약을 맺지 않는 곳은 10% 할증요금을 적용키로 했다.

송유관공사도 경영정상화를 위해 올해 인력 64명을 감축하고 예산도
1백75억원 절감키로 했다.

정부도 에너지특별회계와 공공자금에서 송유관공사에 빌려준 차입금에
대해선 원금 상환을 5년간 유예키로 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정상화조치로 송유관 가동률은 34.1%에서 63.8%로
늘어나 송유관공사 손실도 점차 줄 것"이라며 "2005년에는 1백87억원의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했다.

자본금이 2천2백50억원인 송유관공사는 시설투자로 부채가 6천7백21억원에
달해 금융비용(지난해 지급이자 5백97억원)은 높지만 매출이 저조(지난해
4백32억원), 연간 5백억원이 넘는 손실을 보고 있다.

< 박기호 기자 kh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