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기, 그리기전

=6월6일까지 대전 한림미술관.

사회전반의 상황과 관련해 그린다는 것의 의미를 모색한 작품 전시.

고낙범 김동유 배준성 전용석 카롤 벤자켄 발레리 파브르 등 국내외 작가
15명 출품.

(042)222-1211

<>공간의 본질과 관조의 거리전

=5월 25일까지 부산시립미술관 3층 대전시실.

공간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있는 중견조각가 4명의 작품전.

김청정 심문섭 최인수 금누리씨 참가.

(051)740-4241

<>조풍연 그래픽전

=19일~25일 부산롯데화랑.

"옹기"를 주제로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한 컴퓨터그래픽 작품 20여점 전시.

작가는 성심외국어대학 편집디자인과 교수.

(051)810-3788

<>김인겸작품전

=29일까지 가나아트센터.

"묵시공간-공"을 주제로 한 조각전.

대작 중심의 철판 조각 10여점과 드로잉 10여점 출품.

가나미술상 수상 기념전.

(02)720-1020

<>여동완사진전

=19일~31일 학고재.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여씨의 티벳 사진전.

티벳의 자연풍광과 생활풍습 종교등을 찍은 작품 75점 전시.

(02)739-4937.

<>박순철-수묵으로 보는 우리 속담전

=22일까지 갤러리 사비나.

속담과 고사성어를 소재로 그린 수묵채색화 20여점 출품.

"우이독경" "강건너불구경" "부전자전" "그림의 떡"등 생활주변의 이야기를
정감있게 풀어낸 작품전.

(02)736-4371

<>판화 평면의 깊이와 변주전

=4월25일까지 환기미술관.

강승희 배선미 오이량 임영재 최미강씨등 젊은 작가 13명의 판화작품이
전시.

(02)391-7701

<>강민 귀국전

=24일~30일 공평아트센터.

독일 베를린에 머무르며 격정적 색채와 거친 붓질로 그려낸 여인누드 작품
전시.

삶의 고통과 슬픔, 그리움을 함축적으로 표현.

(02)733-9512.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