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들이 민영화 차원에서 추진중인 증자나 지분매각 등은 정부의 환율
안정대책과 관계없이 예정대로 이뤄진다.

증자물량을 해외매각키로한 한국가스공사의 경우 이미 투자설명서를
보냈으며 한국전력과 한국중공업도 당초 일정대로 지분매각을 추진키로
했다.

13일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국내 외환시장에 달러 공급요인으로
작용하지만 해당 공기업들의 재무구조 개선등이 시급한 만큼 민영화
대상 공기업들의 증자나 지분매각은 허용키로 외환당국과 협의를
마쳤다"고 말했다.

공기업 민영화를 위한 증자나 지분매각은 지난해 마련한 일정대로
추진키로 했다는 설명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따라 한국가스공사는 이날 29개 석유메이저와
해외금융기관에 증자및 신주의 해외매각과 관련한 투자설명서를 보냈다.

입찰방식으로 증자물량(액면가 기준 1천억원)을 소화시킬 계획인 가스
공사는 이중 20곳 이상이 참여할 것을 예상하고 있다.

빠르면 다음달 중순께 입찰을 실시, 3월초까지 주식발행대금을 납입받기로
했다.

증자를 통해 유치한 외자는 재무구조 개선이나 올해 예정된 투자에
충당함으로써 민영화의 발판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보유지분 5%를 해외 매각키로한 한국전력도 매각시점을 2월말로
잡고 세부 일정을 구체화하고 있다.

한전은 주가관리 차원에서 지난해 매입한 자사주중 상당규모를 이번
매각 때 포함시키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정부지분 5%를 매각할 경우 약 9억달러 규모의 외화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분 51% 이상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중공업은 외국인 보유지분
한도를 없앤 "공기업 민영화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이달말께
국제 입찰공고를 내기로 했다.

한중 민영화팀은 빠르면 올상반기중 매각절차가 완료될 것으로 보고있다.

< 박기호 기자 kh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