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물열차를 실어 중국까지 운반한 뒤 중
국횡단철도(TCR)와 연결하는 "열차페리 복합운송시스템"이 빠르면 2002년
구축된다.

또 인천국제공항,부산.인천항,군포복합화물터미널 등 우리나라 주요 공
항 항만 내륙화물기지 등이 올 하반기에 관세자유지역으로 지정돼 국제물류
센터로 육성된다.

건설교통부는 7일 물류비 절감을 위해 이같은 내용의 국가물류기본계획(
99~2003년)을 확정,발표했다.

건교부는 특히 지난 연말 김대중 대통령의 중국 방문당시 체결된 "한중
철도교류협력약정"에 따라 한중간 열차페리 운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타당
성 조사가 금년초에 착수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철도기술연구소와 중국철도연구소가 공동연구과제로 추진하는 이 운
송시스템은 이미 기초조사가 완료됐으며 연말까지 한국의 인천항 평택항 군
장항,중국의 다롄항 옌타이항 렌윈항 가운데서 대상 항구가 선정될 예정이다.

건교부는 TCR이 우리나라 철도궤도 간격과 동일한데다 시베리아횡단철도(
TSR)보다 중앙아시아까지의 거리가 약 2천8백 짧아 수송시간이나 운임 등
을 고려할 때 이 지역을 연결하는 최적의 노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현재 발틱해를 중심으로 핀란드~독일,덴마크~독일,덴마크~스웨덴간에 운
용되고 있는 열차페리 운송체계는 화물을 역과 역사이는 물론 문앞에서 문
앞까지 운송하고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열차페리운송을 통해 항만 하역시간 단축은 물론 효율
적인 노선구축으로 비용절감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건교부는 이와 함께 부산항 인천항 군포복합화물터미널 등 주요 물류거점
을 관세자유지역으로 지정,화물의 통관및 반출입신고 생략과 관세와 교통세
등의 면제,외국인 투자시 조세감면 등의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이심기 기자 sglee@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