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그룹 '빅딜'] '정부 뒷받침' 충분해야..넘어야할 난제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빅딜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5대그룹의 빅딜 선언은 이제 첫 단추를 꿴 것에 불과하다.
빅딜 계약이 실질적인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려면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다.
우선 들수 있는 것이 사업교환이나 공동회사 설립으로 남게 되는 설비와
인력의 처리문제다.
재계와 정부는 과잉설비와 인력 정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지만 대량
실업시대에 국민들을 어떻게 설득할수 있을지 미지수다.
또 빅딜 대상 기업들의 정상화를 위해선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인데 이
과정에서 특혜시비가 일어날수 있다.
이와함께 해당기업 투자자들의 이해관계도 얽혀 있다.
정부의 재정지원과 과잉인력 해소없이는 빅딜은 성공할수 없다.
어렵더라도 전 국민이 고통을 분담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빅딜 성공 체크 포인트를 점검해 본다.
<> 과잉설비및 인력의 원만한 조정 =7개업종의 빅딜은 과잉인력과 설비
정리를 우선적으로 요구한다.
그러나 현대자동차 정리해고에서 보았듯 이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다.
노동계의 반발등 커다란 사회문제화가 예상된다.
현대전자와 LG반도체가 단일법인을 설립키로 한 반도체의 경우 관리
영업직을 중심으로 1천~2천명정도의 인력을 조정할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두 회사의 반도체관련 인원은 현재 1만9천5백명에 달한다.
또 정유업종은 현대정유에 인수되는 한화에너지의 고용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한화에너지 인력은 주유소를 운영하는 자회사 한화에너지플라자
(4백명)를 포함해 1천5백명선으로 생산직을 제외하고 2백명가량의 정리가
예상된다.
철도차량의 경우도 수백명의 감원이 점쳐지며 선박용엔진은 삼성중공업과
한진중공업 해당부문 인력의 절반정도(3백명)가 직장을 잃을 것으로 예상
된다.
이밖에 발전설비와 항공산업도 무더기 감원이 확실시된다.
재계는 고용조정 규모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할 것이나 어느정도의 정리는
불가피하다고 판단, 국민들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여기에 과잉설비 처리도 문제다.
해외로 이전하고 외국업체에 팔거나 해외에 이전하는 것이 한 방법이다
아예 폐기시키는 경우도 나타날수 있다.
<> 정부지원 =정부는 구조조정 기업에 금융.세제상 지원한다는 방침을
정해 두고 있다.
재계는 그러나 외국투자가들이 투자를 꺼리는 상황에서 빅딜대상 기업이
살아나려면 재정자금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당기업에 대한 국책은행 대출금의 출자전환, 부채탕감 등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 기업제도실 김용렬 박사는 "재정자금을 투입하지 않고서 빅딜
대상 기업들이 경쟁력을 회복하기를 기대하긴 어렵다"며 "정부와 대기업이
국민들을 설득시키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혜시비를 우려해 정부가 미지근한 움직임을 보일 경우 빅딜 목적을
달성하긴 어려울 것으로 지적했다.
이와함께 공정거래법을 탄력적용, 사업교환에 따른 독점시비도 불식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 조직과 기업문화의 통합 =빅딜성공의 또다른 요인은 해당기업들이
얼마나 빨리 조직과 기업문화를 통합할수 있는가는 점이다.
외국의 예를 보더라도 사업교환이나 공동회사 설립시 이질적 문화와 조직을
신속히 통합할수 있느냐 여부가 경쟁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해당기업들은 임직원들이 납득할만한 조직통합 원칙과 시나리오를 만들고
신속히 조직개편을 마무리해야 한다.
또 동기부여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국민적 합의 =가장 중요한 것은 빅딜의 불가피성을 국민들이 이해하는
것이다.
여기엔 경우에 따라선 "나"도 손해볼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고용조정 대상이 될수 있으며 국민 세금이 대기업에 지원될수도 있다.
또 빅딜 대상 기업 개인투자자나 기관투자자들은 사업양도나 공동법인
인수로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그렇다고 주주총회에서 무조건 반대하거나 법원에 제소하는 등의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비상 상황인 지금 회사를 살려야한다는 대승적 관점을 갖도록 설득해야
한다.
<> 외국 이해관계자에 대한 설득 =빅딜로 기업 덩치가 커짐에 따라 외국
기업이나 정부가 불평을 토로, 통상문제화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관련기업은 인맥을 총동원해 이번 빅딜이 세계경제 회복을 위해서도
불가피했다는 점을 인식시켜야 한다.
GE나 톰슨 등 외국의 사업교환 사례를 원용해 설득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빅딜성공 체크포인트 ]
<>.과잉인력/설비정리 : . 최소한 수준에서 정리해고
. 과잉설비 해외이전/매각
<>.정부지원 : . 세제/금융지원 외에 재정자금 투입 필요
. 독과점 허용
<>.기업조직 통합 : . 통합원칙, 시나리오 마련
. 동기부여 방안 모색
<>.국민적 합의 : . 빅딜 불가피성 설득
. 대승적 관점 갖도록 홍보
<>.외국 이해관계자 설득 : . 인맥동원, 통상문제화 방지
< 강현철 기자 hck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4일자 ).
5대그룹의 빅딜 선언은 이제 첫 단추를 꿴 것에 불과하다.
빅딜 계약이 실질적인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려면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다.
우선 들수 있는 것이 사업교환이나 공동회사 설립으로 남게 되는 설비와
인력의 처리문제다.
재계와 정부는 과잉설비와 인력 정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지만 대량
실업시대에 국민들을 어떻게 설득할수 있을지 미지수다.
또 빅딜 대상 기업들의 정상화를 위해선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인데 이
과정에서 특혜시비가 일어날수 있다.
이와함께 해당기업 투자자들의 이해관계도 얽혀 있다.
정부의 재정지원과 과잉인력 해소없이는 빅딜은 성공할수 없다.
어렵더라도 전 국민이 고통을 분담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빅딜 성공 체크 포인트를 점검해 본다.
<> 과잉설비및 인력의 원만한 조정 =7개업종의 빅딜은 과잉인력과 설비
정리를 우선적으로 요구한다.
그러나 현대자동차 정리해고에서 보았듯 이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다.
노동계의 반발등 커다란 사회문제화가 예상된다.
현대전자와 LG반도체가 단일법인을 설립키로 한 반도체의 경우 관리
영업직을 중심으로 1천~2천명정도의 인력을 조정할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두 회사의 반도체관련 인원은 현재 1만9천5백명에 달한다.
또 정유업종은 현대정유에 인수되는 한화에너지의 고용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한화에너지 인력은 주유소를 운영하는 자회사 한화에너지플라자
(4백명)를 포함해 1천5백명선으로 생산직을 제외하고 2백명가량의 정리가
예상된다.
철도차량의 경우도 수백명의 감원이 점쳐지며 선박용엔진은 삼성중공업과
한진중공업 해당부문 인력의 절반정도(3백명)가 직장을 잃을 것으로 예상
된다.
이밖에 발전설비와 항공산업도 무더기 감원이 확실시된다.
재계는 고용조정 규모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할 것이나 어느정도의 정리는
불가피하다고 판단, 국민들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여기에 과잉설비 처리도 문제다.
해외로 이전하고 외국업체에 팔거나 해외에 이전하는 것이 한 방법이다
아예 폐기시키는 경우도 나타날수 있다.
<> 정부지원 =정부는 구조조정 기업에 금융.세제상 지원한다는 방침을
정해 두고 있다.
재계는 그러나 외국투자가들이 투자를 꺼리는 상황에서 빅딜대상 기업이
살아나려면 재정자금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당기업에 대한 국책은행 대출금의 출자전환, 부채탕감 등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 기업제도실 김용렬 박사는 "재정자금을 투입하지 않고서 빅딜
대상 기업들이 경쟁력을 회복하기를 기대하긴 어렵다"며 "정부와 대기업이
국민들을 설득시키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혜시비를 우려해 정부가 미지근한 움직임을 보일 경우 빅딜 목적을
달성하긴 어려울 것으로 지적했다.
이와함께 공정거래법을 탄력적용, 사업교환에 따른 독점시비도 불식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 조직과 기업문화의 통합 =빅딜성공의 또다른 요인은 해당기업들이
얼마나 빨리 조직과 기업문화를 통합할수 있는가는 점이다.
외국의 예를 보더라도 사업교환이나 공동회사 설립시 이질적 문화와 조직을
신속히 통합할수 있느냐 여부가 경쟁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해당기업들은 임직원들이 납득할만한 조직통합 원칙과 시나리오를 만들고
신속히 조직개편을 마무리해야 한다.
또 동기부여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국민적 합의 =가장 중요한 것은 빅딜의 불가피성을 국민들이 이해하는
것이다.
여기엔 경우에 따라선 "나"도 손해볼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고용조정 대상이 될수 있으며 국민 세금이 대기업에 지원될수도 있다.
또 빅딜 대상 기업 개인투자자나 기관투자자들은 사업양도나 공동법인
인수로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그렇다고 주주총회에서 무조건 반대하거나 법원에 제소하는 등의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비상 상황인 지금 회사를 살려야한다는 대승적 관점을 갖도록 설득해야
한다.
<> 외국 이해관계자에 대한 설득 =빅딜로 기업 덩치가 커짐에 따라 외국
기업이나 정부가 불평을 토로, 통상문제화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관련기업은 인맥을 총동원해 이번 빅딜이 세계경제 회복을 위해서도
불가피했다는 점을 인식시켜야 한다.
GE나 톰슨 등 외국의 사업교환 사례를 원용해 설득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빅딜성공 체크포인트 ]
<>.과잉인력/설비정리 : . 최소한 수준에서 정리해고
. 과잉설비 해외이전/매각
<>.정부지원 : . 세제/금융지원 외에 재정자금 투입 필요
. 독과점 허용
<>.기업조직 통합 : . 통합원칙, 시나리오 마련
. 동기부여 방안 모색
<>.국민적 합의 : . 빅딜 불가피성 설득
. 대승적 관점 갖도록 홍보
<>.외국 이해관계자 설득 : . 인맥동원, 통상문제화 방지
< 강현철 기자 hck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