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사의 추가퇴출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정보 보험감독원장은 11일 "한동안 생보사 추가퇴출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물론 당국의 강제조치가 없을 것이란 뜻이다.

그러나 업계에선 4개사 퇴출에 따른 여파보다 이행계획서를 내도록
명령받은 7개사의 향후 행보와 우량 보험사간의 판도 변화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 교보 제일 흥국 등 4개사는 퇴출사 계약을 떠앉음으로써 우량보험사
임을 대내외에 입증하게 됐다.

이들 4개사는 자연스럽게 국내생보업계를 리드하는 주도그룹을 형성할
전망이다.

여기에는 대한생명과 사실상 "완전승인"을 받은 신한 대신 금호 등 7개사중
몇몇개사도 이에 가세할 수도 있다.

국내시장 규모등을 감안할 때 7개사 안팎이 주도그룹을 만들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문제는 이행계획서를 내도록 명령받은 7개사 모두가 살아 남을 것이란 점.

지난 5월 경영정상화대상으로 선정된 이후 대외신인도가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이번에도 "부실"의 접두사를 말끔히 떼어내지 못했다.

이번 퇴출조치이후 이른바 우량보험사그룹들은 보다 공격적인 영업을 펼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올들어 감소추세를 보이는 영업의 고삐를 죌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판단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푸르덴셜 네덜란드 등 외국계 보험사들도 고객저변을 넓혀가는 영업
전략을 펴고 있다.

이같은 안팎의 상황은 이번에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생보사들의 경영을
더욱 어렵게 만들게 분명하다.

상처받은 대외신인도는 고객의 외면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영업조직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어서다.

동아 국민생명 등 이행계획서를 내야 하지만 외자 유치 등 자구계획이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는 곳도 없지 않다.

"퇴출대상에선 제외됐다해도 안전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때 이행
계획서 제출명령은 회사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다"고 한 보험사 경영자는
말했다.

보험업계가 당국의 조치보다 시장에서의 추가퇴출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때문이다.

< 송재조 기자 songja@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