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민영화] 지분확보따라 그룹순위 변동 .. 재계 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기업 민영화는 재계에도 큰 관심사다.
민영화 대상기업중 덩치가 크고 알짜배기인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재계는 주요 민영화 대상기업의 경영권은 어떻게 되고 향후
매각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경영권은 어떻게 되나 =포철의 경우 당장은 경영구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인 지분한도를 3%로 묶어 광범위하게 지분을 분산할 수 있게한데다
포철 경영진이 일찌감치 민영화에 대한 대비를 해놨기 때문이다.
포철은 민영화를 통해 정부의 간섭에서 벗어나는 선진국형 경영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를 크게 반기고 있다.
포철 관계자는 "민영화를 통해 글로벌 스탠더드 경영, 스피드 경영,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전문 경영이 가능해졌다"며 "민영화 이후에도 국가
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향후 경영성과에 따라 주주들이 경영권 교체를 요구하거나
2001년말 동일인소유한도가 폐지돼 특정 주주그룹에 의한 매수합병(M&A)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2001년말까진 주요주주들이 비상임이사를
임명하는 방식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그이후의 경영방식은 이들 주요주주가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비해 한국중공업은 정부가 정부보유 지분 51% 이상을 매각한다는
방침이어서 내년중 경영권이 완전히 넘어갈 전망이다.
정부는 개인.법인이든 컨소시엄이든지를 불문하고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공개경쟁입찰방식으로 매각한다는 계획이다.
경영권이 실제로 넘어가는 시점은 지분매각절차가 완료되는 내년 하반기가
될 전망이다.
이와관련, 정부는 2003년 1월1일 이전에는 지분매각을 하지못하도록
묶어놓은 민영화특별법등 관련법령을 개정하고 자산재평가를 실시하지
않아 장부가격과 실제가격 차이가 많이 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재계판도 향후변화 =1차 민영화대상 공기업중 재계가 우선 관심을
갖고있는 기업은 포철과 한국중공업 한전등 3개사다.
17조원(국내6위)의 자산을 가진 포철은 지난해 9조7천억원의 매출에
7천3백억원의 순이익을 낸 국내 최고기업이며 한중도 3조원매출에
4백53억원의 이익을 냈다.
한전은 매출 13조1천억원, 순이익 5천6백억원을 기록했다.
포철은 매출액기준 재계7위(97년기준)이며 한중은 21위다.
따라서 완전민영화가 결정된 이들 2개 기업중 한군데만 인수하더라도
재계순위가 껑충 뛸수 있다.
더구나 이들은 사실상 독점기업이다.
포철의 경우 동일인 소유한도가 폐지되는 2002년부터 본격적인 인수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그전까지는 데이콤 지분매각때처럼 물밑 지분확보전이 치열할 것이다.
또 한중은 공개경쟁입찰이 예상되는 내년 상반기까지 그룹들간 치열한
정보전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에 미치는 파장 =중소기업들이 공기업 민영화가 미칠 파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단체 수의계약으로 안정적인 납품을 해온 중소기업들은 공기업이
해외에 매각될 경우 이 부문에 차질이 오지나 않을까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3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투자기관관리
기본법"과 "중소기업 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은
공기업들이 단체수의계약물품을 구매할 때 중소기업협동조합과 우선적으로
계약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한국통신 가스공사 등 일부 민영화 대상 공기업이
이 규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됐다가 중소기업계의 반발로 원상복귀된
가운데 이번에 상당수 공기업들의 민영화 계획이 발표되면서 중소기업들은
다시 긴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민영화의 큰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으며 퇴출은행이나
퇴출기업 발표 여파처럼 당장 업계가 고통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전제하면서도 "아무래도 외국기업에 넘어가는 공기업은 예전처럼 법률규정에
얽매여 협동조합을 통한 단체수의계약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힘들 것"이라고
걱정했다.
실제로 지난해 단체수의계약 금액 3조8천억원 중 한국전력과 한국통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2천8백70억원, 2천7백억원에 이를 정도로 규모가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기협중앙회는 이에 따라 민영화 진행 추이를 세심하게 살피면서 그 파장을
분석하고 상응하는 대책 마련에 힘을 쏟기로 했다.
기협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지금의 공기업 틀이 깨지고 해외기업이든
국내기업이든 민영화의 새 틀이 짜이게 되면 단체수의계약 물량이 줄어들면
줄어들었지 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산업1부>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4일자 ).
민영화 대상기업중 덩치가 크고 알짜배기인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재계는 주요 민영화 대상기업의 경영권은 어떻게 되고 향후
매각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경영권은 어떻게 되나 =포철의 경우 당장은 경영구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인 지분한도를 3%로 묶어 광범위하게 지분을 분산할 수 있게한데다
포철 경영진이 일찌감치 민영화에 대한 대비를 해놨기 때문이다.
포철은 민영화를 통해 정부의 간섭에서 벗어나는 선진국형 경영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를 크게 반기고 있다.
포철 관계자는 "민영화를 통해 글로벌 스탠더드 경영, 스피드 경영,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전문 경영이 가능해졌다"며 "민영화 이후에도 국가
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향후 경영성과에 따라 주주들이 경영권 교체를 요구하거나
2001년말 동일인소유한도가 폐지돼 특정 주주그룹에 의한 매수합병(M&A)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2001년말까진 주요주주들이 비상임이사를
임명하는 방식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그이후의 경영방식은 이들 주요주주가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비해 한국중공업은 정부가 정부보유 지분 51% 이상을 매각한다는
방침이어서 내년중 경영권이 완전히 넘어갈 전망이다.
정부는 개인.법인이든 컨소시엄이든지를 불문하고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공개경쟁입찰방식으로 매각한다는 계획이다.
경영권이 실제로 넘어가는 시점은 지분매각절차가 완료되는 내년 하반기가
될 전망이다.
이와관련, 정부는 2003년 1월1일 이전에는 지분매각을 하지못하도록
묶어놓은 민영화특별법등 관련법령을 개정하고 자산재평가를 실시하지
않아 장부가격과 실제가격 차이가 많이 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재계판도 향후변화 =1차 민영화대상 공기업중 재계가 우선 관심을
갖고있는 기업은 포철과 한국중공업 한전등 3개사다.
17조원(국내6위)의 자산을 가진 포철은 지난해 9조7천억원의 매출에
7천3백억원의 순이익을 낸 국내 최고기업이며 한중도 3조원매출에
4백53억원의 이익을 냈다.
한전은 매출 13조1천억원, 순이익 5천6백억원을 기록했다.
포철은 매출액기준 재계7위(97년기준)이며 한중은 21위다.
따라서 완전민영화가 결정된 이들 2개 기업중 한군데만 인수하더라도
재계순위가 껑충 뛸수 있다.
더구나 이들은 사실상 독점기업이다.
포철의 경우 동일인 소유한도가 폐지되는 2002년부터 본격적인 인수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그전까지는 데이콤 지분매각때처럼 물밑 지분확보전이 치열할 것이다.
또 한중은 공개경쟁입찰이 예상되는 내년 상반기까지 그룹들간 치열한
정보전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에 미치는 파장 =중소기업들이 공기업 민영화가 미칠 파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단체 수의계약으로 안정적인 납품을 해온 중소기업들은 공기업이
해외에 매각될 경우 이 부문에 차질이 오지나 않을까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3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투자기관관리
기본법"과 "중소기업 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은
공기업들이 단체수의계약물품을 구매할 때 중소기업협동조합과 우선적으로
계약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한국통신 가스공사 등 일부 민영화 대상 공기업이
이 규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됐다가 중소기업계의 반발로 원상복귀된
가운데 이번에 상당수 공기업들의 민영화 계획이 발표되면서 중소기업들은
다시 긴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민영화의 큰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으며 퇴출은행이나
퇴출기업 발표 여파처럼 당장 업계가 고통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전제하면서도 "아무래도 외국기업에 넘어가는 공기업은 예전처럼 법률규정에
얽매여 협동조합을 통한 단체수의계약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힘들 것"이라고
걱정했다.
실제로 지난해 단체수의계약 금액 3조8천억원 중 한국전력과 한국통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2천8백70억원, 2천7백억원에 이를 정도로 규모가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기협중앙회는 이에 따라 민영화 진행 추이를 세심하게 살피면서 그 파장을
분석하고 상응하는 대책 마련에 힘을 쏟기로 했다.
기협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지금의 공기업 틀이 깨지고 해외기업이든
국내기업이든 민영화의 새 틀이 짜이게 되면 단체수의계약 물량이 줄어들면
줄어들었지 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산업1부>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