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천 : 한경서평위원회 선정
** 출판사 : 박영사
** 저 자 : 김완순 / 한복연 공저

====================================================================

박태호 < 서울대 교수 >

우리나라 무역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김완순
교수가 한국방송통신대학의 한복연 교수와 함께 "국제경제기구론"이란 책
자를 펴냈다.

이 책의 의미는 국제경제기구만을 다룬 국내 최초의 서적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보다 더 큰 이유는 최근 국내에서 국제경제기구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 책자의 출간이 이루어졌다는
데에 있다.

우루과이라운드 (UR) 협상, 세계무역기구 (WTO)의 출범, 한국의
경제개발협력기구 (OECD) 가입, 국제통화기금 (IMF)과 세계은행의 합동
연차총회, 북한의 아시아개발은행 (ADB) 가입 가능성, 유럽 북미
동남아에서의 시장통합, 아.태경제협력체 (APEC) 및 아시아.유럽 정상회담
(ASEM) 등은 이제 일부 전문가나 담당 공무원에게만 국한된 주제가 아니다.

국제경제관련 이슈들은 이미 기업가 근로자 회사원 학생을 포함한 일반
국민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자는 폭넓은 독자층에게 유익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특히 그중에서도 최근 정부의 국제전문인력양성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된
국제대학원 학생들에게는 필독서라 하겠다.

한국은 1인당 국민총생산 뿐아니라 국제무역규모에 있어서도 이미 세계
10위권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말 한국은 OECD의 29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이렇듯 국제사회에서 한국경제의 위상이 높아가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
전문인력의 국제경제기구 참여도는 지나치게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많은 젊고 유능한 전문인력이 국제경제기구에
진출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다양한 국제경제기구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담고 있어
국제경제기구에서 전문인력으로 일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IMF 세계은행 ADB 등 국제금융기구,관세및 무역관련 일반협정
(GATT)과 WTO 등 국제무역기구, EU, 북미자유무역협정 (NAFTA), APEC 등
지역통합과 연관된 국제경제기구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특히 OECD
등 한국이 가입한 국제경제기구를 모두 망라하고 있다.

저자들은 단순히 기구의 조직과 기능만을 소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기구의 설립배경과 발전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국제 정치적 해석을
포함시켜 국제경제기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은 국제경제기구가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모색함으로써 전문가들의 심도있는 연구와 정부의 대외경제정책수립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책은 최근 OECD와 WTO 등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경쟁정책의
국제규범화, 다자간투자협정의 추진, 무역과 환경의 연계, 핵심 노동기준과
무역과의 상호관계 등 새로운 협상의제들을 비교적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이는 급변하는 세계경제동향을 이해하고 이에 대비하는 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이 국제경제기구의 중요성을 체험적으로 느끼고 앞으로
우리의 많은 젊은이들이 국제경제기구에 진출해 우리의 국제적 위상을
높여 주기를 절실히 기대하는 학자에 의해 서술되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이 책의 저자인 김완순 교수는 IMF와 ADB 등 국제경제기구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을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줄곧 국제경제분야에서 연구와
교수활동을 해왔다.

우리에게 무엇이 부족한지를 몸소 느끼고 체험한 전문가에 의해 저술된
책이라 더욱 귀중하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