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것이 곧 기회다"

취업대란의 시기다.

몇몇 업체를 제외하면 지난해보다 채용인원을 줄여 뽑거나 더 늘려 뽑지
않는 업체가 대다수다.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이나 취업재수생들에게는 추운 겨울을 알리는 예고편
같은 대목이다.

일부 학생들은 자격증을 따기 위해 학원에 등록하거나 해외연수를 떠날
준비를 시작한다.

그러나 꼭 그럴 필요까지 있을까.

취업전쟁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는 실력과 정보.

실력이 있다면 이제 인터넷과 PC통신으로 들어가 "정보"로 무장하고 스스로
기회를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취업관련 정보가 가장 많은 곳은 정보의 보고인 인터넷.

현재 인터넷에는 20여개의 기관및 단체가 구인및 구직정보를 제공하거나
예비 산업일꾼들의 취업을 알선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이트는 인터넷 정보회사인 컴퓨터베이스사가 운영중인
신바람취업정보사이트(www.combase.co.kr).

이 사이트는 구직자와 기업들을 직접 연결해 주는 곳으로 구직자가 약간의
돈을 지불하면 자신의 음성과 사진, 자기 소개서 등을 함께 올릴수 있다.

컴퓨터 전문직 기술직 사무직 영업직 아르바이트 등을 직종별로 나눠 등록
할수 있다.

헨드헌터코리아사가 운영하는 리쿠르트사이트(www.headhunt.co.kr/recruit)
도 구직자와 구인업체를 연결하는 징검다리로 주목받고 있다.

우수한 인력들이 많이 모이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인신상정보 보호차원
에서 모두 이름대신 회원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취업전문업체인 리쿠르트사가 제공하는 홈페이지(www.recruit.co.kr)도
생생한 취업정보로 오래전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해외 취업을 전문적으로 알선하는 사이트도 등장했다.

미국 온라인 채용정보 서비스업체인 버나드 호즈사가 지난 7월 만든
해외취업정보사이트(www.careermosaic.co.kr)가 바로 그것.

이 회사는 그동안 인터넷을 통해 미국 일본 호주 유럽 각국에 취업정보를
제공하는 커리어 모자이크란 홈페이지를 운영해 왔다.

국내판에는 현재 20여개 대학및 기업 연구소 등의 구인정보가 올라와 있다.

특히 국내에 진출한 외국업체들과 해외로 진출한 국내업체에서 내놓은
구인정보가 많다.

이용자들은 유료로 경력과 함께 원하는 기업이나 직종을 남겨 놓으면
1년동안 데이터베이스(DB)로 남겨져 해당기업으로부터 회신을 받을수 있다.

정부쪽에서도 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 창구를 마련해 놓았다.

노동부가 지난 7월 자체 홈페이지(www.molab.kr)를 만들고 구직자들에게
취업정보를 제공하고 나선 것.

정보가 많은 것은 아니나 정부쪽에서 취업정보를 인증,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산업기술진흥협회도 인력은행인 "R&D 맨파워뱅크"(http://kita.technet.or.
kr)를 개설, 연구개발분야 학생들의 취업을 돕고 나섰다.

학생들은 이 사이트에서 취업정보를 얻을수 있을 뿐아니라 직접 3백자이내의
자기소개서도 작성, 구인업체에 제출할수 있다.

산기협은 내달 23일 1박2일 일정으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기업연구소와
우수연구인력이 만날수 있는 "97 우수연구원 채용박람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취업전문가들은 기업 홈페이지를 직접 이용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권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직접 해당회사의 정보를 얻을수 있을 뿐아니라 원서를 인터넷
에서 작성해 바로 제출할수 있어 일일이 원서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다.

LG그룹같은 경우에는 인터넷으로 원서를 제출할 경우 가산점을 주기도 한다.

인터넷이 기업과 구직자들간에 새로운 채널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풍경이다.

< 박수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