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의 조기3자인수에 대한 부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적어도 지금은 3자인수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들이 금융계와
정책당국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관계자들은 우선 오너가 없다는 형식적인 요건부터 지적한다.

강만수 재정경제원차관은 최근 3자인수와 관련, "주식을 내놓을 주주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누가 인수하더라도 기아의 현상태 그대로는 인수하기 어렵다는 점도
거론된다.

현재까지 제시된 자구노력이 충분하지 않고 임직원들에게는 국민기업이라는
여론을 등에 업고 쉽게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어 강도높은 자구노력이 선결
요건이라고 정책당국자들은 보고 있다.

정부관계자들은 아시아자동차의 자구노력의 경우 실제 인원감축이 이뤄진
부분은 별로 없다는 점을 예로 든다.

최근 포항제철의 자재공급중단 논란과 관련해서도 이 문제가 대내외에
알려지기 전에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애써야할 기아측이 스스로 이를
언론에 공개한 것은 위기의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재경원 고위관계자는
질타했다.

또 실제 영업행태와 관행에서 경영관리가 방만하게 이뤄진 것으로 지목된
점과 강력한 노조도 단기간에 해결될수 없는 걸림돌로 지적된다.

여당의 대통령후보가 결정되고 대통령선거가 임박한 상태에서 특정기업의
인수시 특혜논란우려등 정치적인 요인도 3자인수에 부정적인 여건이다.

재경원은 이와함께 크라이슬러의 경우처럼 정부가 기아채무를 보증한다든지
산업합리화업체지정등 인위적으로 구조조정에 개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개입하는 모습은 절대 보이지 않겠다는 것이다.

결국 정책당국자들이 생각을 종합하면 우선 인원감축 경영진퇴진 자산매각
등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먼저 실행해 스스로 재기할수 있는 안팎의 여건을
만드는 것이 우선과제다.

그러나 자구노력뒤에도 자립이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결국 3자인수를 통한 합병밖에 대안이 없다는 시각이다.

대주주가 없지만 3자인수배정방식의 유상증자나 공개매수를 통해 합병하는
방법이다.

결국 기아 스스로 자립을 준비할 시간을 준뒤 3자인수를 고려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