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의 세계] 신문매체 선호도 높아져 .. 광고연구원, 설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문광고에 대한 광고주(기업)들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을 상세히 소개하거나 기존 광고를 보강키 위해 새로 광고를 하는
경우에는 TV보다 신문을 훨씬 더 선호한다는 것.
기업이미지 광고의 매체별 선호도에서도 신문은 TV를 따라잡은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한국광고연구원은 수도권지역 기업체의 광고담당 부서장및 실무자
1백2명을 대상으로 "매체별 광고마케팅 전략"을 조사, 86년과 비교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신제품 광고를 할때는 여전히 TV를 선호하나 다른 광고에서는 인쇄매체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왔다는 설명이다.
먼저 제품을 구체적으로 알리기 위한 광고를 보면 조사대상자의 무려 78%가
신문광고를 선호한다고 대답했다.
10년전의 53%에 비해 25%포인트나 높아진 수치다.
반면 TV와 라디오광고가 낫다는 응답자는 한명도 없었다.
잡지와 DM(우편물)광고 선호도도 각각 12%와 8%에 그쳤다.
신문에 대한 광고주들의 선호도 제고는 기존의 광고효과를 보강하기 위한
광고와 기업PR광고에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보강광고의 경우 86년에는 TV를 선호하는 기업이 34%로 신문(11%)보다
훨씬 높았다.
하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신문이 31%로 높아진데 비해 TV는 14%로 낮아져
선호도가 역전됐다.
잡지 선호도는 10%에서 24%로 올라갔다.
기업PR광고 분야에서는 TV선호도가 53%에서 43%로 낮아진 반면 신문선호도
는 32%에서 43%로 높아져 신문이 TV를 따라잡은 것으로 집계됐다.
물론 신제품 광고에서는 여전히 TV선호도가 신문을 크게 앞질렀다.
하지만 신문의 선호도가 18%에서 20%로 높아진데 비해 TV는 73%에서 70%로
낮아져 "신문선호도 제고, TV선호도 감퇴" 현상은 여기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한편 광고게재 신문을 선택할 때는 신문의 지명도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은 소구대상(타깃층), 신문사와의 관계, 광고단가 등의 순이다.
광고매체 결정권자는 부서장이 70%로 가장 많고 최고경영자와 실무자가
결정한다는 비율은 각각 10%에 불과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2일자).
상품을 상세히 소개하거나 기존 광고를 보강키 위해 새로 광고를 하는
경우에는 TV보다 신문을 훨씬 더 선호한다는 것.
기업이미지 광고의 매체별 선호도에서도 신문은 TV를 따라잡은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한국광고연구원은 수도권지역 기업체의 광고담당 부서장및 실무자
1백2명을 대상으로 "매체별 광고마케팅 전략"을 조사, 86년과 비교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신제품 광고를 할때는 여전히 TV를 선호하나 다른 광고에서는 인쇄매체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왔다는 설명이다.
먼저 제품을 구체적으로 알리기 위한 광고를 보면 조사대상자의 무려 78%가
신문광고를 선호한다고 대답했다.
10년전의 53%에 비해 25%포인트나 높아진 수치다.
반면 TV와 라디오광고가 낫다는 응답자는 한명도 없었다.
잡지와 DM(우편물)광고 선호도도 각각 12%와 8%에 그쳤다.
신문에 대한 광고주들의 선호도 제고는 기존의 광고효과를 보강하기 위한
광고와 기업PR광고에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보강광고의 경우 86년에는 TV를 선호하는 기업이 34%로 신문(11%)보다
훨씬 높았다.
하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신문이 31%로 높아진데 비해 TV는 14%로 낮아져
선호도가 역전됐다.
잡지 선호도는 10%에서 24%로 올라갔다.
기업PR광고 분야에서는 TV선호도가 53%에서 43%로 낮아진 반면 신문선호도
는 32%에서 43%로 높아져 신문이 TV를 따라잡은 것으로 집계됐다.
물론 신제품 광고에서는 여전히 TV선호도가 신문을 크게 앞질렀다.
하지만 신문의 선호도가 18%에서 20%로 높아진데 비해 TV는 73%에서 70%로
낮아져 "신문선호도 제고, TV선호도 감퇴" 현상은 여기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한편 광고게재 신문을 선택할 때는 신문의 지명도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은 소구대상(타깃층), 신문사와의 관계, 광고단가 등의 순이다.
광고매체 결정권자는 부서장이 70%로 가장 많고 최고경영자와 실무자가
결정한다는 비율은 각각 10%에 불과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