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씨의 증인채택과 TV생중계 문제를 둘러싼 여야의 공방전으로 활동
여부가 불투명했던 한보국정조사특위가 곧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17일 국정조사계획서 작성소위를 열어 그간 쟁점이 되어온 사항들에
대해 논의했으나 외견상으로는 기존 입장을 고수, 합의를 보지 못했다.

신한국당은 그러나 <>국정조사계획서에 김씨및 관련자들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고 <>특위의 조사내용을 한보사건에 한정하고 <>일부 증인에 대한 요구를
철회할 경우 야권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키로 내부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18일중 국정조사계획서를 작성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헌기 소위 위원장은 TV생중계문제와 관련, "법에서 허용하고 있는 만큼
방송사의 자율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해결하겠다"고 말해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여야는 이날 소위에서 김씨와 관련된 인사들의 증인채택문제로 진통을
겪었다.

야당은 이날 회의에서 박경식 양대석 주규식(한보 자금담당이사) 등 3명을
추가증인으로 신청하고 김씨의 측근인 박태중 이성호(주식회사 대호 부사장)
씨 그리고 이원종 한이헌 이석채 김영수씨 등 전 청와대 수석들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신한국당은 그러나 "증인은 한보사태와 관련된 사람들만으로 제한되어야
한다"며 이를 거부, 진통을 겪었다.

또 현철씨의 증인채택과 관련해서도 "야당이 소명자료를 먼저 제출해야
한다"고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 합의를 미뤘다.

여야는 그러나 김광일 전 대통령비서실장 이성헌 전 청와대비서관 심대평
충남지사 김덕룡 최형우 김상현 장재식 의원 등 23명을 증인및 참고인에서
제외키로 합의했다.

국정조사계획서가 18일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특위는 20일께 45일간의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게된다.

특위는 21일께 한보철강 당진제철소를 방문하는데 이어 4월초까지 한보철강
포항제철 증권감독원 은행감독원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한보관련 보고를
받은뒤 30여일 정도 청문회를 개최, 관련증인의 증언을 들을 예정이다.

따라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김씨의 국회증언은 4월 중순경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 김태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