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의 침체원인은 한마디로 허약한 산업구조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이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3차산업은 그동안 급속하게 덩치가 불어난 반면 제조업은 기반을 미처
다지지 못해 부산경제를 떠받드는 견실한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이강웅 부산무역관장의 뼈있는 분석이다.

이관장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부산경제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신발
섬유 등 노동집약적산업은 94년의 경우 전체 종업원수의 47.6%, 전체
수출액의 52.5%를 차지할 정도로 지역경제에서 갖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그런만큼 이들 업종의 경기쇠퇴는 바로 부산경제의 침체로 이어지게
마련.

이처럼 다양하지 못한 부산경제의 "메뉴"는 시장변화에 대한 기민한
대응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상황이 이렇게 악화일로에 들어선 최근에서야 부산의 각종 장기발전
계획이 등장했다.

튼튼한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부산의 주력을 자동차산업
체제로 개편한뒤 첨단소프트산업쪽으로 발걸음을 빠르게 옮긴다는게 그
골격이다.

"부산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하루빨리 노동집약적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지식정보산업쪽으로 구조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산발전시스템
연구소 정의광소장의 지적은 부산경제계가 모두 공감하는 대목이다.

"부산이 진정 21세기 태평양시대의 주역도시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발전을 위한 공감대형성과 마스타플랜의 설정 그리고 이에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함께 부산은 새로운 발전을 위한 시민운동을 전개해야 하며 경제
정보 산업 교육 등 전략적 중추기능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

부산대 황한식교수의 제안이다.

결국 산업구조조정도 고급인력과 시민의 단결된 총의에 바탕을 둘때
상승효과를 볼수 있다는 얘기다.

"신발 섬유산업은 결코 사양산업이 아니며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재투자하는 기업은 반드시 살아남을 수 있다.

디자인개발과 신기술을 갗출 경우 고부가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부은경제연구소 김형구 연구실장은 "강한 기업은 살아남는다"는
주장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수년간 구조조정을 거치고도 아직 지역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신발 섬유 등 기존산업에 대해서는 현황을 정확하게 진단해 고부가가치형
으로 합리화시켜야 한다는 것이 의견의 골격이라 할 수 있다.

부산경제의 산업구조조정에 있어 걸림돌이 있다면 새로 설치하려는
공단들이 제대로 이루어지느냐 하는 문제다.

앞으로 부산을 이끌고 갈 녹산 등 서부산권의 공업입지를 조성하는데
예산이나 각종 규제에 묶여 공사에 차질을 빚는다면 구조조정에 실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세계수준의 경쟁력확보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조선 및 조선기자재업체들의 계약과 매출급감이 발생하는데다
부산 최대역점사업인 가덕도, 수영만정보단지 사업이 특혜시비에 휘말리는
것도 산업구조조정기에 접어들고 있는 부산경제에 어두운 그림자를
던져주고 있다.

그렇지만 위기는 기회로 통할 수 있다.

지난 80년대초 부산산업이 전성기를 누릴때 산업구조조정을 소홀히해
현재 고생하고 있는 점을 교훈삼아 비슷한 환경에 접어들고 있는 지금부터
가능한 모든 처방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

부산경제가 2000년대 국가산업의 중심적 역할을 할 각종사업을 새롭게
펼치고 있지만 종전처럼 또다시 산업구조조정을 실현하지 못한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더이상 부상할 수 없는 3류경제권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부산 = 김태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