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장법인 주식 공개매수 규모가 주주행동주의 확산 등으로 지난해보다 세 배 가까이 급증했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공개매수결과 보고서는 총 17건 제출됐다. 전날부터 시작된 한국앤컴퍼니 공개매수를 더하면 18건으로 늘어난다. 지난해 제출된 공개매수결과 보고서가 7건에 그친 것에 비하면 2.6배 늘었다. 주식 공개매수는 2021년에는 12건, 3년 전에는 여섯 건에 불과했다. 공개매수는 기업 지배권을 위해 증권시장 밖에서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상장법인 주식을 사들이는 거래를 말한다.
주주행동주의가 확산하는 한편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을 추진하는 기업이 증가하면서 공개매수가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진행됐거나 진행 중인 18건의 공개매수 목적(중복 공시 가능)을 살펴보면 ‘인수합병(M&A)’이 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주회사 요건 충족’이 6건, ‘상장폐지’는 5건으로 집계됐다. 이외 공개매수 목적을 ‘경영권 안정’으로 밝힌 곳이 2곳, ‘기타(주주가치 제고)’가 1곳이었다.
공개매수 절차가 시작되면 주가는 통상 공개매수 단가에 가깝게 뛴다. 인수 기업과 피인수 기업 간 분쟁이 격화할 것으로 전망되면 공개매수 단가 이상으로 주가가 급등하기도 한다. 양측이 경쟁을 벌이면서 더 높은 가격에 주식을 사들일 가능성이 있어서다.
금융투자업계는 ‘묻지마 투자’는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영권 분쟁을 예상해 펀더멘털보다 높은 가격에 주식을 매입한 투자자가 예측하지 못한 변수 등으로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어서다. 올초 7만원대에 거래되던 SM엔터 주가는 하이브와 카카오의 인수전이 확산하던 3월 최고 16
수소차 공기압축기 제조업체인 뉴로스가 고의로 상장폐지했다는 의혹이 뒤늦게 제기되고 있다.
6일 한국경제신문이 입수한 김승우 뉴로스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서에 따르면 김 대표는 투자 명목으로 회삿돈을 투자한 뒤 일부 자금을 되돌려받는 방식 등으로 총 214억원의 회사자금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본업과 관련 없는 게임 개발사, 대부업체, 수산물 도매사 등에 투자한 자금이 문제가 됐다. 김 대표는 지난해 10월 상장폐지 후 정리매매가 진행될 당시엔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 회사를 통해 뉴로스의 지분을 추가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로스가 코스닥에서 퇴출된 사유는 ‘감사보고서 의견 거절’이다. 당시 감사인은 뉴로스에 대해 자금 관련 내부 통제가 미비해 적합한 감사 증거를 확보할 수 없고,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이 있다는 의견을 냈다.
뒤늦게 고의 상폐 의혹이 불거진 건 김 대표가 구속되고 나서다. 대전지방법원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등의 혐의로 경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지난달 16일 발부했다. 김 대표의 불법 혐의를 확인한 뉴로스 주주들은 “회사가 회계감사에 필요한 서류를 고의로 제출하지 않는 수법 등으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며 “김 대표가 부정 거래 의혹을 감추기 위해 뉴로스를 고의 상폐시켰다”고 주장했다. 이런 고의 상폐 의혹에 대해 뉴로스 관계자는 “업무 담당자가 없다”며 답변하지 않았다.
상폐가 되면 대주주나 경영진이 횡령 등 내부 부정을 감추기가 용이해진다. 상폐 후 회사 자산을 추가로 횡령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공시 의무가 사라지기 때문에 소액주주들이 대주주나 경영진의 부
케이엔에스가 공모 첫날 '따따상(공모가 대비 300% 상승)을 기록했다. 공모주 상장 첫날 가격 상승폭이 300%까지 확대된 이후 첫 사례다
6일 케이엔에스는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300% 오른 9만2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오전 9시 케이엔에스는 공모가(2만3000원) 대비 200%이상 높은 7만1000원에 장을 시작했다. 장중 변동을 보이며 5만8400원까지 내려가기도 했지만 결국 상한선까지 주가가 오르며 장을 마쳤다.
케이엔에스는 2차전지 전류차단장치(CID) 관련 자동화 장비를 제조하는 기업이다. 2006년 설립됐고, 2015년에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 CID 장비 개발에 성공해 제조·판매하고 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