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신으로서는 증권사로 전환하는게 업무를 다양화 할 수 있어 오히려
수익기반을 넓힐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증권사 전환을 위해 증자는 물론 직원의 업무연수를 강화하는등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한일투신 김웅기상무)

신설투신이나 서울소재 3투신 이상으로 지방투신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말이 증권사 전환이지 제2 창업에 다름아니기 때문이다.

증권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본금을 늘리고 증권업무를 익혀야
한다.

일부 운용부서도 정보가 집중되는 서울에 둬야 한다.

창업대주주가 직접 회장직을 맡으며 경영전면에 나서려는 움직임마저
나타나고 있다.

지방투신으로선 대대적인 변신의 시기를 맞은 셈이다.

한일 중앙 한남 동양 제일등 지방투신은 지역상공인들이 출자해 지난 89년
자본금 300억원으로 출발했다.

영세성을 면치 못하던 이들 지방투신은 올해초 이미 100%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각각 600억원으로 늘렸다.

재정경제원이 증권사 전환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것은 자본금
1,000억원이상.

그래서 대부분의 지방투신이 연말까지 자본금을 1,000억원으로 늘려
증권사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또 증권사로 전환한 다음 운용부문을 따로 떼내 투자신탁운용회사를
자회사로 만들 계획이다.

다만 대전소재 중앙투신의 생각은 다르다.

동양그룹에 인수돼 계열사로 편입된만큼 증권사 전환이 필요없다는
입장이다.

그래도 자본금을 늘리며 운용규모를 키워나가는 작업은 계속하고 있다.

자본금을 늘린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적 단순한 투자신탁업무에 젖어있던 직원들의 업무능력을 키우는 것은
시급한 과제다.

증권업무는 투신업무 보다 훨씬 복잡하기 때문이다.

인천소재 한일투신은 올해 직원 연수비를 지난해의 4배이상으로 책정했다.

주식매매 약정업무는 물론 회사채발행과 인수업무등이 직원들이 새로
익혀야할 공부거리다.

이런 교육투자와 다양한 업무를 발판으로 수익기반을 넓히겠다는게
지방투신의 전략이다.

그러나 이같은 지방투신의 변신에 대해 지방투신 직원들은 업무과중 등을
이유로 달갑지 않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것이 회사측으로서는 증권사전환의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이점을 고려, 부산소재 제일투신은 증권업무의 비중을 초기에는 10%정도로
둔후 점진적으로 증권업무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직원들의 반응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대주주들이 경영전면에 나서는 문제는 노사갈등의 시비거리가 되고 있다.

지난 3월 부산소재 제일투신이 증자를 할때 대주주인 흥아타이어 강병중
회장이 실권주를 독차지해 지분을 27.5%로 높였다.

이 때문에 노조측에서는 지역상공인이 설립한 공적인 금융기관을 개인
기업이 차지하려 한다며 거세게 항의한 적이 있다.

그러나 대주주의 경영일선등장은 확산되는 추세다.

동양그룹으로 넘어간 중앙투신도 동양증권부회장인 김병택씨를 회장으로
선임했고 동양투자자문대표인 김윤학씨를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대주주가 성암그룹계열 동아석유인 광주소재 한남투신도 마찬가지다.

비상임이기는 하지만 성암그룹 신준수부회장이 지난달 회장으로 추대됐다.

"증권사로 전환하더라도 상품운용파트는 정보수집을 빨리 할수 있는
서울에 둬야합니다.

그래서 일부 지방투신이 서울에 지점을 두거나 국제업무파트를 서울로
옮기기도 합니다"(중앙투신 국제업무팀 윤규갑차장)

운용파트를 서울에 두는 문제도 지방투신의 현안이다.

중앙투신이 국제팀을 서울에 뒀지만 운용파트까지는 옮기지 못하고 있다.

한남투신도 운용부문을 서울에 두려고 했지만 재정경제원이 제동을
걸었다.

증권사로 전환한 다음 운용부문을 서울에 두라는게 재정경제원의 입장이다.

증권사전환을 앞둔 지방 투신사의 발걸음은 변신의 몸부림에 다름아니다.

투신 자유화 시대를 버텨나갈 유일한 생존무기는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 최명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