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준비율이 23일부터 인하적용됨에 따라 상업 한일 한미 보람은행이
여수신금리를 내리는등 은행권의 금리인하조치가 확산되고 있다.

<>.대출금리 인하 = 조흥은행 등의 일반여수신금리인하 발표에 이어 상업
한일은행도 23일부터 일반대출우대금리를 9.0%에서 8.75%로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보람은행도 일반대출우대금리를 9.25%에서 9.0%로 0.25%포인트 내린다.

주택은행도 22일 ALM위원회를 열어 임차자금및 40평방미터(분양평수기준
14,15평형)이하의 신축.구입 주택자금대출금리를 9.5%에서 9.25%로 인하
했다.

이들 은행의 대출금리인하는 기존대출분에도 적용된다.

한미은행은 ''빠른대출''과 ''편리한 장기대출''금리를 최고 1.4% 인하, 신규
대출분부터 담보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연13.2%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빠른 대출의 경우 확정금리를 선택하면 연13.0%의 금리로 대출받을수 있다.

서울 한미은행등도 조만간 일반대출 우대금리를 내릴 예정이며 상업은행
등의 신탁대출금리인하도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조흥은행만이 신탁대출우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전반적인
대출금리가 하향조정됨에 따라 상업 한일등 다른 은행들도 신탁대출우대
금리인하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행은 또 금리체계변경도 병행할 예정이다.

<>.수신금리 인하 = 은행들은 지준율인하에 뒤이은 대출금리인하 영향으로
예대마진이 축소됨에 따라 수신금리도 속속 하향조정하고 있다.

상업은행은 정기예금중 2년이상 3년미만은 연10.5%에서 연10.0%로, 3년
만기는 연11.0%에서 연10.5%로 각각 0.5%포인트씩 내렸다.

1년제 특판정기예금금리도 0.5%포인트 인하, 월이자지급식은 연10.5% 만기
지급식은 연11.0%가 적용된다.

그러나 상업은행은 특판정기예금금리 인하시행일을 내달 6일로 늦춰 당분간
외형경쟁을 지속할 계획이다.

제일은행과 한일은행은 이달초 특판정기예금금리를 인하했다.

한일은행도 23일부터 정기예금금리를 2년이상 3년미만은 연10.8%에서 연
10.5%로 0.3%포인트 내리고 3년만기는 연11.0%에서 연10.75%로 0.25%포인트
인하한다.

양도성예금증서와 표지어음매출금리도 각각 0.5%포인트씩 인하, 30일이상
60일미만은 연8.5%, 60일이상 1백80일까지는 연9%를 적용한다.

한미은행은 로얄고수익부금 금리를 일부 인하, <>6개월이상 1년미만 연
11.5% <>1년이상 2년미만 연11.0 <>2년이상 3년미만은 연11.5%로 적용하고
3년이상 5년까지는 종전과 같이 연12.0%의 금리를 유지한다.

은행관계자들은 "이번 지준율인하로 발생하는 연간 3천억원가량의 수익이
대출금리 인하에 모두 반영돼 예대금리차만 좁혀졌다"면서 다른 은행들도
선발은행들의 금리인하추이를 보아가며 수신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별 금리차이 비교 = 한편 은행들의 일반대출금리인하로 개인이
일반대출받을 경우 최고금리는 조흥은행이 12.25%로 가장 낮다.

반면에 아직 우대금리를 내리지 않은 서울은행은 개인대출 최고금리가
13%에 달한다.

은행들이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신탁계정 개인대출금리는 14% 안팎으로
조흥은행이 12.75-14.25% 제일은행 11.75-13.75% 한미은행 13.5-14.0%등이
낮은 편이다.

하나은행의 경우 연12%이상에서 영업점장이 자율적으로 대출금리를 적용
하고 있다.

그러나 금리는 낮더라도 실제 은행들로부터 대출받을수 없는 경우도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