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다봤다.
이에따라 "경기급락"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작아지는 대신 "연착륙이
무난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원화절상으로 인한 수출신장 둔화 <>총선이후의 물가
불안 등을 경계해야한다는 지적도 만만치않다.
각 연구기관들의 2.4분기 경제전망을 분석해 본다.
<편집자 주>
======================================================================
국내경제는 1.4분기에 이어 2.4분기에도 7%대의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경제연구소들의 분석이다.
연구기관들은 2.4분기 성장률이 최저 6.9%(대우연)~최고 7.8%(금융연)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따라 경기 연착륙도 무난할 것으로 점쳐지고있다.
연구기관들은 그러나 2.4분기성장률이 1.4분기엔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이유는 크게 두가지다.
우선 수출증가율의 둔화다.
미국 유럽연합(EU)등의 선진국과 중국 아세안등 일부 개도국의 성장률이
낮아져 수출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 외자유입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원화가 절상돼 가격경쟁력도 떨어질
소지가 높다는 점을 들고있다.
따라서 수출증가율은 20%대를 기록한 1.4분기에 크게 못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경제사회연구원은 9.0%,대우경제연구소는 11.9%,산업연구원(KIET)은
15.9%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하나는 설비및 건설투자의 둔화다.
사실 1.4분기엔 공공부문이 설비.건설투자를 주도해왔다.
이같은 현상은 2.4분기에도 지속될 공산이 크며 민간투자가 살아날지는
불투명하다는 게 연구기관들의 분석이다.
민간연구소들은 2.4분기 설비투자증가율이 5.7%(대우연)~7.0%(현대연)
정도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설비투자 둔화는 그러나 수입증가율을 끌어내리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자본재 수입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2.4분기 수입증가율은 1.4분기에 비해 크게 낮아진 6.6%(현대연)
~18.9%(금융연)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원자재 가격 상승세와 <>소비재수입 급증추세등의 복병이 도사리고
있어 안심할수는 없는 분위기다.
민간소비는 다소 둔화될 예상이다.
민간소비지출의 선행지표인 도소매판매액이 둔화세를 보이고있기 때문이다.
각기관들은 1.4분기보다 0.2%포인트 정도 하락한 7.1%(대우연)~7.9%
(금융연)가 될 것으로 보고있다.
무역수지는 수입증가세가 수출증가세를 밑돌면서 1.4분기보다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1.4분기중 무역적자를 32억달러로 예상했던 KIET와 대우연은 2.4분기
무역적자폭이 각각 7억달러,17억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는 인플레압력이 줄어들면서 1.4분기보다는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연은 2.4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이 4.9% -> 4.3%로,
KIET는 4.8% -> 4.5%로, 금융연은 4.9%-> 4.4%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실업률도 1.4분기에 이어 2.1%정도를 유지, 완전고용에 가까운 상태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처럼 2.4분기중 국내경제는 "안정속의 적정성장"이라는 목표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각정당의 선심공약등으로 인한 물가불안 요인이 상존해있고
임금상승률도 두자리수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 낙관할수만은 없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중공업과 경공업간의 양극화현상 <>고비용.
저효율의 경제구조 등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있다.
대우경제연구소 한진수연구위원은 "부동산과 금융업 침체가 너무 오래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금융업의 침체는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연구위원은 "물가도 안정세를 보이고있지만 이는 정부가 인위적으로
통제한 탓"이라며 "하반기이후에는 공공및 서비스요금이 물가상승을
주도할 소지가 높다"고 말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총선이후 정치구도변화에 따라 <>임금및 물가안정기조가
흔들릴 소지가 높고 <>원화절상으로 수출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 큰 만큼
2.4분기에도 "안정기조 유지"가 정책당국의 최대과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
했다.
이와함께 금융및 세제,부동산분야의 규제를 과감히 풀어 국내경제의
고비용.저효율구조를 개선하는데 주력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