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지하가 깊어지고 있다.

대형건물들이 최근 신축될 경우 대부분 지하 4층이하로 지하층을 개발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90년부터 94년까지 지하 4층이하로 건축허가가 나간
건수는 1백30여건에 이르고 있고 95년 한햇동안만 지하 4층이하로 건물의 건
축허가가 나간 건수는 무려 80건에 달하는등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
이다.

특히 지난해 서울시의 건축심의를 거친 지상 11층이상, 연면적 1만평방m이
상 건물 92동가운데 무려 86%인 80동이 지하4층이하로 건설될 계획이다.

또 90년부터 95년까지 6년동안 지하 6층이상 건물의 허가건수도 77건에 달
하고 있고 같은 기간동안 지하8층까지 허가받은 건물은 16개에 달하고 있다.

이같이 지하활용이 늘어나면서 문제점도 계속 늘고 있다.

지하층 개발의 활성화는 지하 주차장면적의 확대로 이어져 도심지역의 통행
량 유발요인으로 작용, 교통여건을 악화시키고 있다.

또 지하층의 효용에 비해 건축비용부담이 지나치게 커 경제적인 낭비를 유
발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서울시관계자는 이와관련,"이같은 문제로 서울시도 대책을 마련하고는 있지
만 묘책이 없다"고 밝히면서 "주차장 상한제를 올 하반기부터 도입해 도심에
신축되는 건물의 주차장 건설을 억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건축전문가들은 건물의 지하층 대부분이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지하
4층이하로 마련된 주차장의 경우는 이용자들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사용을 꺼
려 실질적인 효과도 별로 없는데다 건설비 부담만 커 경제성이 크게 떨어진
다고 지적하고 있다.

현대건설 윤기준부장은 "지하층으로 깊게 내려갈 경우 흙막이 공사등 비용
이 많이들고 특히 빌딩이 밀집한 지역의 경우 다른 건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땅을 파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큰 폭으로 늘어난다"며 "건물의 안전성은
지하층의 깊이와는 상관없기 때문에 경제성을 바탕으로 지하층 깊이를 정하
는 풍토가 정착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남국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