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건설 부도소식에 건설업계에 위기감이 확산되고있다.

지난해 유원건설 삼익 뉴서울주택 영진건설등 중견건설업체들이 잇달아
쓰러진데 이어 연초부터 다시 도급순위 18위의 대형건설업체가 도산,
건설업계가 충격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특히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는 것은 건설업체의 부도가 대책없이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11월 당국이 건설업계 지원방안을 내놓았지만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점이 건설업계의 위기의식을 증폭시키고 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에 일반건설업체 1백45개사가 쓰러졌다.

94년 한해동안 도산한 일반건설업체가 49개사였던데 비해 지난해에
부도건수가 2백96%나 증가한 것이다.

월별 부도추이를 보면 1월에 4개사, 2월에 6개사등 연초에는 부도건수가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3월부터 부도건수가 급증, 매월 10개사이상 부도를 냈고 12월에는
부도건수가 25개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당국이 지난해 11월8일 전격 발표한 "주택시장안정대책"이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셈이다.

건설업체의 부도는 올해들어서도 끊이지 않고 있다.

도급순위 132위인 중견업체 (주)정방이 부도를 내는등 올들어서도 지난
15일현재 이미 5개의 일반건설업체가 쓰러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전문건설업체의 사정은 더욱 나쁘다.

지난해에 7백53개사의 전문건설업체가 도산한데이어 올들어서도 견실한
업체중의 하나인 삼보지질을 비롯 모두 20여개의 전문건설업체가 부도를
낸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건설업체 부도가 줄을 잇고 있는 일차적 이유로는 무엇보다도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른 아파트 미분양 적체가 꼽힌다.

부도업체중에 주택업체가 유난히 많은 것도 이때문이다.

건교부의 통계에 잡힌 주택미분양물량만도 지난해말을 기준으로 15만2천3백
13가구에 달한다.

지난해 11월에비해 미분양물량이 소폭 줄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이는 계절적
요인에 의해 매년 되풀이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는게 일반적 분석이다.

부동산전문가와 건설업계에선 한결같이 올해도 미분양적체가 계속되리라는
우울한 전망을 하고 있다.

미분양심화는 건설업체들의 경영을 이중삼중으로 압박한다.

미분양발생에서 오는 직접적 손실과 함께 미분양을 줄이기 위해 이익률을
크게 낮추는 사업이 허다하다.

요즘엔 사업기획단계에서부터 손해를 감수하고 분양에 나서는 경우도 적지
않다.

사업을 많이 할수록 손해폭이 커진다는 웃지못할 상황이 건설업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위치가 좋은 땅을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이다.

땅값도 땅값이지만 땅주인이 아예 팔지 않겠다고 "버티기"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사 분양성이 있는 지역의 땅을 확보했다해도 당국으로부터 사업승인을
얻기가 쉽지 않다.

"되는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상황"에서 사업은 지연되고 금융비용만
늘어가는게 요즘의 현실이다.

건설업체들이 발행한 어음이 제도권 금융시장에서 사실상 할인되지
않는다는 점도 건설업체들의 자금을 압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그래서 건설업체들은 울며겨자먹기식으로 사채시장에 의존하게 된다.

전문건설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94년 전문건설업체가 원청업체들로부터
받은 전체 하도급공사비의 76.2%인 8조2천8백여억원을 어음으로 받았고 이
가운데 18.8%인 1조5천5백여억원을 사채시장에서 현금화했다.

사채시장의존은 금전상의 직접적 손실을 의미한다.

건설업체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또 다른 원인은 업체간 경쟁심화이다.

93년말 건설업면허개방이후 전체 건설수주액은 늘고 있으나 업체당 수주액
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93년 업체당 공사수주액이 248억원이었던데 비해 94년엔 수주액이 192억원,
95년엔 196억원(추정치)으로 격감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숨가쁘게 진행되는 건설제도 변화도 건설업체들의 경영난
을 심화시키고 있다.

부실공사근절과 건설시장개방에 대비한다는 측면에서 "건설업계정화"와
건설제도개선이 불가피하다는데는 이론이 있을수 없다.

하지만 건설부조리를 뿌리뽑는다는 명분아래 "출구"도 마련해 놓지 않은채
건설업체들 쉴새없이 몰아대는것은 재고돼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건설부조리를 없애려면 적절한 공사비를 확보해 주고 공정한 경쟁을 할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는 작업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성부도이후 건설업체들이 당면할 가장 큰 어려움은 자금조달이다.

가뜩이나 자금사정이 나쁜데 제도금융권으로부터 자금을 끌어쓸수 있는
통로가 당분간 막힐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특히 시중은행으로부터 단기운용자금을 융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과거엔 부도를 낸 건설업체는 대부분 중소업체였다.

그러나 지난해부턴 부도가 중견업체로 확산됐고 올해는 대형업체로까지
부도가 번져가고 있다.

우성이외에 부도설에 시달리는 대형업체가 한두개가 아닌만큼 이젠 당국이
실질적이고도 강도높은 대응책마련에 나서야할 때라는 의견이 설득력을
더해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