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기업이 유럽으로 달려가고 있다.

세계 최대규모의 EU(유럽연합)시장을 겨냥해서다.

가전업계를 필두로 자동차 기계등 업종을 불문하고 "유럽행 열차타기"가
붐을 이루고 있는 것.

EU시장을 잡기 위한 한국계 메이커들의 전략은 "현지화"에 집중돼 있다.

현지화는 국내 기업들의 생존조건이기 때문이다.

국내 업체들이 유럽전선에서 펼치고 있는 현지화전략을 생산 마케팅
연구개발(R&D)등 부문별로 짚어본다.

<편집자>
**********************************************************************

영국 런던에서 비행기를 타고 한시간쯤 북상하면 푸른 초원 "윈야드"가
눈아래로 가득 펼쳐진다.

지구촌 최대의 단일시장 "EU"를 겨냥한 삼성전자의 복합적인 전략이
숨어있는 곳이다.

삼성은 이 초원을 연산 1백만대의 전자레인지공장과 연산 2백만대의
컬러모니터공장, 그리고 인근 빌링햄의 컬러 TV공장등을 연계한 복합가전
단지로 변모시켰다.

삼성전자가 이곳에 생산부문의 "EU최전선"을 구축함으로써 국내 가전3사는
영국내에 모두 생산기지를 완비하게 됐다.

LG전자는 이미 북잉글랜드 뉴캐슬지역에 컬러TV 공장과 전자레인지공장을
준공하고 매달 수만대씩의 완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대우전자 역시 북잉글랜드 지역에서 지난 92년부터 연간 60여만대의 VTR를
생산중이다.

유럽시장을 겨냥한 가전사들의 "현지생산체제"는 이처럼 상당 수준 진척돼
있다.

이들이 노리고 있는 목표는 명확하다.

"메이드 인 잉글랜드"상품으로 광활한 EU시장을 잡겠다는 것.

무기는 "현지화된 기업"이다.

유럽대륙으로 눈을 돌리면 이같은 전략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폴란드(대우전자 가전복합단지) 독일 보름스(LG전자 VTR) 프랑스 로렌
(대우전자 TV) 스페인 바르셀로나 (삼성전자 VTR)등에선 현지 소비자의
취향을 고려한 "메이드 인 EU"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물론 유럽인들을 겨냥한 "현지형" 제품들이다.

80년대 초 유럽지역에 "소나기식 자본수출(직접투자)"을 단행했던 일본계
메이커에 이어 한국계 메이커들의 "EU러시"가 시작된 것일까.

높은 관세장벽과 보호무역의 두터운 벽은 현지생산의 한 이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가전사들의 EU진출은 단순히 수입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라는 느낌이다.

오히려 시장 자체가 갖는 매력에 "EU러시"의 이유가 있다.

"EU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시장이면서 가장 고급시장이다.

다양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세계 제조업체들간에 치열한 시장경쟁이
날마다 벌어진다.

따라서 EU시장은 국내업체들의 세계화전략 성패여부를 재는 바로미터다"
(김광호삼성전자 부회장).

그러니까 유럽은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을 검증받을 수 있는
필드테스트장인 셈이다.

조건은 동일하다.

필립스(네덜란드)지멘스(독일)톰슨(프랑스)AEG(독일)등 현지업체들과도
출발선은 똑같다.

외국업체와 현지업체를 차별하지 않는 것이 EU의 통상원칙이기 때문.

"역내로 반입되는 상품에 대한 규제는 철저하지만 역내로 진출하려는
제조업체들에 대해선 거의 무한대로 문호를 개방하는 곳이 EU다"(구자홍
LG전자사장).

한국계 메이커들의 EU진출이 가전사들에만 국한된 현상은 물론 아니다.

대우자동차는 최근 폴란드 국영 자동차회사인 FSO와 FSL의 인수를 계기로
이 지역에 상용차와 자동차부품을 총괄하는 종합자동차그룹을 설립키로
했다.

EU내에 완벽한 독자생산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현대자동차는 터키 키바그룹과 50대 50으로 모두 4억달러를 투자해
이스탄불에 합작 자동차 공장을 설립키로 했다.

현대중공업 역시 벨기에 겔지역에 굴삭기공장을 세우기 위해 7천평규모의
현지 공장을 인수했다.

한국계 메이커들의 "EU전선 집결"은 시작됐다.

윈야드는 그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에 불과하다.

윈야드(Wynyard)란 지명은 고대 영어의 "윈저드"에서 파생된 말.

"윈(winn.닫힌)"과 "저드(geard.초원)"의 합성어다.

과거의 "닫힌 초원" 윈야드는 그러나 이제 "열린 초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 지향점은 물론 유럽전선이다.

<이의철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