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8년이후의 소비자물가변동은 공산품이 아닌 농축수산물과 서비스
부문이 주도하고 있으며 통화긴축에 의한 이들 부문의 물가안정효과는 매우
적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0일 전경련 부설 한국경제연구원의 이영훈연구위원은 "산업별 물가원인
분석"이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따라서 통화긴축에 의한
물가안정정책은 바람직한 정책방향이 못된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공산품이 전체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상관계수는 제2차
석유파동을 전후한 76~81년에 0.92, 물가안정기인 82~87년에는 0.90이었다가
국내경제가 구조조정기에 들어선 88~94년에는 0.39로 크게 떨어지는 변화를
보였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간에 정비례관계가 있는 것이므로 이는
전체 물가에 미치는 공산품의 영향이 88년이후 약매우 낮아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농축수산물의 상관계수는 석유파동기의 0.68, 물가안정기의 0.48에서
구조조정기에는 0.76으로 급상승했다.

또 서비스요금의 상관계수는 0.83~0.82~0.68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이긴
하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분석결과에 대해 이연구위원은 "농축수산물은 통화량보다는 공급의
불규칙으로 인한 가격변동요인이 크고 서비스요금은 임금처럼 하방경직적
성격을 갖고 있는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하고 따라서 88년 이후로는 통화
긴축이 물가안정에 별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임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8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