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건설 제3자인수] 담보/지급보증 확보..금융기관 표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원건설이 제3자인수방식으로 정리될 것이 확실시되면서 은행 투금사등
유원에 돈을 빌려주고 있는 금융기관들이 바빠졌다.
자신들의 돈이 혹시 떼이지 않을까 주판알을 튀겨보는 모습이 역력하다.
그러나 제일은행을 제외한 다른 은행이나 투금사들은 대출에 해당하는
담보를 챙겼거나 제일은행의 지급보증을 갖고 있어 그리 우려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그렇지만 제3자에게 넘어가는 과정에서 대출조건등이 완화되지 않을까에
대해선 경계의 시각을 늦추지 않고 있다.
<>.유원건설에 대한 금융기관의 총여신 5천2백35억원(대출금 1천9백75억원
지급보증 3천2백60억원)중 대부분인 3천4백억여원을, 그것도 무담보로
빌려주고 있는 제일은행은 22일 하루종일 분주한 분위기.
제일은행은 잇달아 임원회의와 관련부서회의를 열어 은행의 입장을
정리하는 등 유원건설의 제3자인수를 기정사실화하는 모습.
이는 더 이상 유원건설에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의 자금지원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다 여신금액의 상당부분을 회수할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이라는게 관계자의 설명.
즉 매각과정에서 어느 정도 여신조건완화를 인정한다해도 부실을 최소화
할수 있다는 것.
이에따라 실무부서에서는 유원건설의 구체적인 매각조건까지 살펴보는등
대출금을 가능한 많이 회수하기 위한 방안마련에 골몰.
제일은행은 그러나 제3자인수가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 최악의
경우 대출금회수 방안마련에도 신경.
한 관계자는 "그동안 유원건설로 속앓이를 해왔던게 사실"이라며 "제3자
인수가 가시화돼 오히려 후련하다"고 말하기도.
한편 제일은행은 유원건설에 대한 여신 3천4백억원중 3천1백억원정도가
지급보증인 것으로 금융계는 추산.
<>.유원건설에 총1천1백억원의 여신을 취급하고 있는 주택 신한 외환 동남
동화은행등 다른 은행들도 유원건설의 처리결과를 예의주시하는 모습.
이들 은행은 그러나 대부분 담보를 챙기고 있어 상당히 느긋한 표정.
제일은행 다음으로 많은 5백50억원의 여신을 갖고 있는 조흥은행은
담보물건이 여신을 초과하고 있어 별 문제가 없다고 설명.
조흥은행관계자는 "유원건설의 계열사인 대동목재의 주식 1백%와 부지를
담보로 갖고 있어 돈을 떼일 염려는 전혀 없다"고 단언.
각각 2백억여원을 대출해주고 있는 신한은행과 주택은행도 부동산을
담보로 잡고 있어 유원건설의 처리결과에 관계없이 여신회수엔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
이들 은행을 포함해 다른 은행들은 오히려 제일은행이 유원건설에 너무
많은 돈이 물려 앞으로 은행발전이 우려된다고 걱정하는 분위기.
<>.유원건설에 총2천97억원을 대출해준 투자금융사와 종합금융사 등
제2금융권은 대출시 거의 은행지급보증을 받았기 때문에 자금회수에는
문제가 없어 덕산그룹 부도때와는 달리 느긋한 표정.
각사마다 1백억~3백억원씩을 유원건설에 빌려준 중앙 대한 제일 신한투금
등 투금사들은 "덕산그룹 부도때는 무담보 신용대출이 많아 난리법석을
떨었지만 유원건설은 은행지급보증을 받아 제3자인수가 되든 어떻게 되든
신경쓸 게 없다"는 반응.
그러나 제2금융기관의 대출액중 5백73억원은 은행지급보증없이 대출해간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 경우 투금사들이 유가증권등을 담보로 잡았는지가
불분명.
한편 8개 서울소재 투금사중 유일하게 덕산그룹에 신용대출을 한 푼도
안해줬던 신한투자금융은 지난1월가지 대주주가 유원건설의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이었던 관계로 유원건설에 4백억원을 대출, 투자금융사중 최다액
을 기록.
<>.덕산그룹 부도사태이후 금융기관들로부터 기업신용평가의 신뢰성을
불신받았던 기업신용평가기관들이 유원건설 제3자인수결정으로 또다시
도마위에 올라 구설수.
한국신용정보와 한국기업평가등은 유원건설의 신용등급을 신용대출이
가능한 B등급으로 평가발표한 것으로 밝혀져 투금사들이 "이같은
기업평가를 믿고 무담보 대출을 해줬었더라면 덕산꼴이 났을 것"이라고
지적.
투금사들은 "이미 1년전부터 자금악화설이 나돈 유원건설엔 신용대출을
회수하고 신규신용대출을 중단했다"며 "기업평가기관들이 덕산사건을
겪고도 여전히 순발력이 뒤진다"고 일침.
이에대해 해당 평가기관들은 "유원건설에 대한 신용등급을 다시 조정할
것을 검토중"이라며 "금융기관간의 신용정보망이 본격 가동돼야
즉시공시제 등 사후관리가 제대로 될것 같다"고 해명.
<금융팀>
(한국경제신문 1995년 3월 23일자).
유원에 돈을 빌려주고 있는 금융기관들이 바빠졌다.
자신들의 돈이 혹시 떼이지 않을까 주판알을 튀겨보는 모습이 역력하다.
그러나 제일은행을 제외한 다른 은행이나 투금사들은 대출에 해당하는
담보를 챙겼거나 제일은행의 지급보증을 갖고 있어 그리 우려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그렇지만 제3자에게 넘어가는 과정에서 대출조건등이 완화되지 않을까에
대해선 경계의 시각을 늦추지 않고 있다.
<>.유원건설에 대한 금융기관의 총여신 5천2백35억원(대출금 1천9백75억원
지급보증 3천2백60억원)중 대부분인 3천4백억여원을, 그것도 무담보로
빌려주고 있는 제일은행은 22일 하루종일 분주한 분위기.
제일은행은 잇달아 임원회의와 관련부서회의를 열어 은행의 입장을
정리하는 등 유원건설의 제3자인수를 기정사실화하는 모습.
이는 더 이상 유원건설에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의 자금지원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다 여신금액의 상당부분을 회수할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이라는게 관계자의 설명.
즉 매각과정에서 어느 정도 여신조건완화를 인정한다해도 부실을 최소화
할수 있다는 것.
이에따라 실무부서에서는 유원건설의 구체적인 매각조건까지 살펴보는등
대출금을 가능한 많이 회수하기 위한 방안마련에 골몰.
제일은행은 그러나 제3자인수가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 최악의
경우 대출금회수 방안마련에도 신경.
한 관계자는 "그동안 유원건설로 속앓이를 해왔던게 사실"이라며 "제3자
인수가 가시화돼 오히려 후련하다"고 말하기도.
한편 제일은행은 유원건설에 대한 여신 3천4백억원중 3천1백억원정도가
지급보증인 것으로 금융계는 추산.
<>.유원건설에 총1천1백억원의 여신을 취급하고 있는 주택 신한 외환 동남
동화은행등 다른 은행들도 유원건설의 처리결과를 예의주시하는 모습.
이들 은행은 그러나 대부분 담보를 챙기고 있어 상당히 느긋한 표정.
제일은행 다음으로 많은 5백50억원의 여신을 갖고 있는 조흥은행은
담보물건이 여신을 초과하고 있어 별 문제가 없다고 설명.
조흥은행관계자는 "유원건설의 계열사인 대동목재의 주식 1백%와 부지를
담보로 갖고 있어 돈을 떼일 염려는 전혀 없다"고 단언.
각각 2백억여원을 대출해주고 있는 신한은행과 주택은행도 부동산을
담보로 잡고 있어 유원건설의 처리결과에 관계없이 여신회수엔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
이들 은행을 포함해 다른 은행들은 오히려 제일은행이 유원건설에 너무
많은 돈이 물려 앞으로 은행발전이 우려된다고 걱정하는 분위기.
<>.유원건설에 총2천97억원을 대출해준 투자금융사와 종합금융사 등
제2금융권은 대출시 거의 은행지급보증을 받았기 때문에 자금회수에는
문제가 없어 덕산그룹 부도때와는 달리 느긋한 표정.
각사마다 1백억~3백억원씩을 유원건설에 빌려준 중앙 대한 제일 신한투금
등 투금사들은 "덕산그룹 부도때는 무담보 신용대출이 많아 난리법석을
떨었지만 유원건설은 은행지급보증을 받아 제3자인수가 되든 어떻게 되든
신경쓸 게 없다"는 반응.
그러나 제2금융기관의 대출액중 5백73억원은 은행지급보증없이 대출해간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 경우 투금사들이 유가증권등을 담보로 잡았는지가
불분명.
한편 8개 서울소재 투금사중 유일하게 덕산그룹에 신용대출을 한 푼도
안해줬던 신한투자금융은 지난1월가지 대주주가 유원건설의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이었던 관계로 유원건설에 4백억원을 대출, 투자금융사중 최다액
을 기록.
<>.덕산그룹 부도사태이후 금융기관들로부터 기업신용평가의 신뢰성을
불신받았던 기업신용평가기관들이 유원건설 제3자인수결정으로 또다시
도마위에 올라 구설수.
한국신용정보와 한국기업평가등은 유원건설의 신용등급을 신용대출이
가능한 B등급으로 평가발표한 것으로 밝혀져 투금사들이 "이같은
기업평가를 믿고 무담보 대출을 해줬었더라면 덕산꼴이 났을 것"이라고
지적.
투금사들은 "이미 1년전부터 자금악화설이 나돈 유원건설엔 신용대출을
회수하고 신규신용대출을 중단했다"며 "기업평가기관들이 덕산사건을
겪고도 여전히 순발력이 뒤진다"고 일침.
이에대해 해당 평가기관들은 "유원건설에 대한 신용등급을 다시 조정할
것을 검토중"이라며 "금융기관간의 신용정보망이 본격 가동돼야
즉시공시제 등 사후관리가 제대로 될것 같다"고 해명.
<금융팀>
(한국경제신문 1995년 3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