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통화증가율 무리한 하향땐 금리안정 해쳐..시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재원 < 럭키금성연구소 금융연구실장 >
총통화(M2)증가율을 13%로 낮추겠다는 경제기획원등의 입장은 M2증가율을
무리하게 하향조정함으로써 금리상승이나 원화환율하락(원화가치상승)을
유발할 소지가 크다.
자금수요가 되살아남에 따라 시중실세금리가 불안해지고 있는터에 "긴축
운운"은 가수요를 자극, 그동안 다져온 금리안정세가 뿌리부터 흔들릴
우려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경제안정을 위해선 통화 환율 금리등이 모두 안정돼야 하고 가격요소를
자극할만한 충격조치를 해서는 안된다.
통화증가율에 대해서도 사전에 왈가왈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금융시장에 불필요한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총통화 공급은 물가 환율 수입원자재가격과 같은 제반 가격벌수들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고려, 매우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의 물가엘 대한 안정의지가 확실하다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과거처럼 총통화 증가율에만 의존한 경직적인 통화관리를 하게 될
경우 자금 시장이 급속냉각되거나 과잉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는등 자금시장이
매우 불규칙적으로 움직일 가능서이 크다.
총통화(M2)증가율을 13%로 낮추겠다는 경제기획원등의 입장은 M2증가율을
무리하게 하향조정함으로써 금리상승이나 원화환율하락(원화가치상승)을
유발할 소지가 크다.
자금수요가 되살아남에 따라 시중실세금리가 불안해지고 있는터에 "긴축
운운"은 가수요를 자극, 그동안 다져온 금리안정세가 뿌리부터 흔들릴
우려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경제안정을 위해선 통화 환율 금리등이 모두 안정돼야 하고 가격요소를
자극할만한 충격조치를 해서는 안된다.
통화증가율에 대해서도 사전에 왈가왈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금융시장에 불필요한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총통화 공급은 물가 환율 수입원자재가격과 같은 제반 가격벌수들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고려, 매우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의 물가엘 대한 안정의지가 확실하다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과거처럼 총통화 증가율에만 의존한 경직적인 통화관리를 하게 될
경우 자금 시장이 급속냉각되거나 과잉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는등 자금시장이
매우 불규칙적으로 움직일 가능서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