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 생보사에 대한 보험감독원의 증자권고조치에 따라 이들생보사들이
생존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초비상 경영에 들어가게 됐다.

재무부의 지급여력확보기준이 앞으로 2년동안 자본금을 늘려서라도 일정
금액이상의 보험금 지급재원을 마련해 보험사업을 계속하든지 통폐합이나
정리절차를 밟으라는 초강경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자율화 개방화 국제화에 따른 치열한 경쟁상황속에서 계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적 차원에서 강행된 것이다.

이에대해 엄청난 증자부담으로 "비현실적"정책이라고 강력 반발한 대신
태평양등 내국신설사들도 증자부담 완화를 위한 사업비절감을 최우선과제
로 선정하는 등 당국의 정책에 적극 동참하려는 분위기로 선회한 배경에도
이같은 계약자보호취지를 정면에서 반기를 들수없었던 까닭이다.

또 당국의 정책 후퇴를 기대할수 없는 현실을 감안해 일단 정책에 호응,
최대한 성의를 보인 다음 얻어낼 것을 요구해보자는 "일단후퇴"전략을
채택하게 됐다고 볼수있다.

이에따라 각생보사들은 누적적자 축소를 겨냥한 자구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신설생보사의 자구노력은 크게 3가지.

첫째가 중장기 상품의 판매를 확대하고 설계사정착률 계약유지율을 높여
예정사업비 재원을 늘리는 이른바 보험원리에 충실하는 정공법.

둘째는 부실점포정리등 점포전략의 내실화를 기해 사업비지출을 최대한
줄이고 본사의 조직개편과 인력의 전진배치를 통해 효율을 제고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드가 자본금 증액을 앞당겨 적자규모를 줄여 나가는
방안이다.

태양생명은 9월말 40억원의 유상증자를 확정했으며 국민 대신등도 50억원
증자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또 동아생명도 올해안에 증자를 하겠다는
계획을 확정, 그룹과 시기및 규모등을 협의중이다.

합작생보사인 동부애트나도 지급여력부족액인 20억원을 증자를 통해 충족
시키고 코오롱메트생명도 빠른 시일내에 임시주총을 소집, 50억원의
유상증자를 결정할 방침으로 있다.

아주 중앙 한신 한일등 지방사들도 부족금액이 크지않아 증자들을 통해
해소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대신 태평양 국민 한국 한덕 등
5개내국사의 움직임이다.

이들5개사의 증자권고액을 보면 대신 3백43억원 태평양 3백3억원 국민
3백24억원 한덕 3백35억원 한국 3백45억원등이다. 이들회사는 점포를
줄이고 중장기상품을 많이 팔아 초과사업비를 줄여도 3백억원이상의
증자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회사는 이번증자권고조치에 따라 지급여력을 충족하는데 적극 노력
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으나 3백억원이 넘는 뭉치돈을 올해안에
증자할수 있을지 미지수이다.

더구나 이들회사는 내년부터 시작되는 이연자산 상각으로 향후 2-3년간
매년 이정도의 증자를 실시해야할 입장에 있어 주주와 경영진간의 마찰도
우려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을 반영, 업계 일각에선 신설생보사를 중심으로 "주인교체"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어 전체 생보업계의 판도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어쨋든 지급여력기준에 따른 증자권고조치는 신설사를 중심으로 감량경영
을 유도하면서 생보업계 전체에 적지않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문가
들은 전망하고 있다.

신설사들은 사업비 절감을 위해서도 축소지향적 경영에 나서는 이때를
이용해 기존대형사들이 과감한 시장공략에 나설게 뻔하고 어려움에 빠진
신설사를 인수, 생보시장에 새로 참여하려는 기업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