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한해도 이제 다 갔다. 열흘후면 새해가 시작된다. 내년에 해야할 일과
불안한 구석이 한두가지가 아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임금문제라고
본란은 주저없이 말하고 싶다. 전국의 대소사업장에서 임금협상을 가급적
조기에,그리고 실력행사나 다른 큰 마찰없이 원만하게 타결함으로써 노사가
합심해서 뛰어야 한다. 그래야만 저점을 지나 상승국면에 들어섰다는 경기
를 확실하게 살리면서 UR시대를 살아갈 힘과 기반을 닦을수 있다.

돌이켜보면 올해에는 지난 87년 6.29이후 크게 달라진 산업현장의 노사
관계에서 새로운 모습이 엿보였다.

문민정부의 출범과 함께 신경제건설과 고통분담을 강도높게 외친 점도
있었지만 모처럼 화합분위기가 싹튼 한해였다.

물론 현대그룹의 자동차공장을 비롯한 계열사의 노사분규가 엄청난 손실과
불안을 유발한 점은 있었다. 그러나 총제적으로는 조용한 편이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면 노총과 경총이 4월1일 노사를 대표해서 처음으로 단일임금
인상률, 보다 정확하게는 4.7~8.9%의 신축적인 임금인상범위율에 합의하는데
성공했다.

이 합의는 정부개입없이 노사 자율로 얻어낸 것이었다. 현실적으로는
상반기중 평균 12.9%의 임금인상이 있었다. 그러나 노사가 한자리수 인상안
에 자율합의를 한것만으로 의미는 컷다. 또 그와같은 달라진 분위기의 소산
인지 모르지만 지난 15일엔 6.29이후 6년반만에 처음으로 전국 15만8,000개
5인이상 사업장에서 "파업없는 날"을 기록하기도 했다.

93년 노사문제는 오히려 정부의 잘못된 노무행정때문에 그르친 비롯한
측면이 있다. 무노무임원칙에 대한 섣부른 해석과 기타 노무지침의 혼선이
사태를 꼬이게 만들었다. 현대그룹노사분규도 그와 무관하지 않았다.

노사는 이런 교훈에다 새로운 경제환경에 대응해서 내년 임금협상을 조기
에 타결할 목표로 작업을 서둘러 왔으나 개각과 정부의 새해 경제운용계획
지연등으로 순조롭지 않다는 소식이다. 노총과 경총이 중심이 된 각종 모임
과 교섭일정이 대거 신년초로 연기되였다는 것이다.

이유가 어떤 것이건 내년 임금협상은 조기에 끝내야한다. 노총과 경총은
금년보다 일찍 단일임금인상안에 합의해야 한다. 내년에도 큰폭의 임금인상
은 어차피 어려울 것이다. 임금수준보다는 일자리에 더 관심이 쏠릴 예정
이다. 한편 내년에는 업무성과에 임금수준을 연결시키는 성과급제의 도입등
임금체제개선에 보다 진전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