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6일 지난 3.4분기 국민총생산(GNP)이 전년동기대비 6.5%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1년동안 계속 전년 수준을 밑돌았던 설비투자도
5.6%증가로 반전했고 민간소비도 5.8%가 늘어났다.

한은은 이같은 실적에 대해 "제조업을 비롯한 수출증가(10.3%)와
건설업(8.9%)의 신장에 힘입어 우리경제가 견조한 선장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태연경제기획원차관보도 "예상밖의 높은
성장"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예상밖의 높은" 지표에도 불구, 국내경기가 불황의 터널을
빠져 상승국면에 진입했다고 속단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다. 경기를
비교적 밝게 보는 한국개발연구원(좌승희 연구위원)같은 데서도 "판단
하기 어렵다"며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경기회복에 확신을 갖기 힘든 어두운 측면이 너무 많다. 우선
올 3.4분기 성장은 작년 동기성장률(3.3%)이 워낙 낮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수 있다. 또 실명제의 여파로 돈이 많이 풀린데다
거래자료가양성화되면서 실제보다 높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난게 분명하다.
또 실명제의 여파로 통계에 잡히지 않던 지하경제가 양성화되고 이 기간중
돈이 급속하게 풀린점도 성장률을 높인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이런점을 감안하더라도 경제전문가들은 4.4분기엔 성장률이 다시 낮아져
올 연간 성장률이 5%대를 기록하는데 그칠것으로 보고있다.

성장내용을 뜯어 보면 제조업성장이 5.7%로 전체성장률을 밑돌아
제조업위중의 건실한 성장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하다. 설비투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해도 일반범용기계부문이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성장의 견인역할을 해온 민간기업의 설비투자는 아직도 잠에서깨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반도체 자동차를 중심으로 호조를 보인 수출도 10월 들어선 다시 5.4%로
증가세가 둔화돼 탄력이 붙었다고 확신하기엔 한계가 있다.

소비증가도 경기순환적 요인보다는 추석등 계절적 요인이 있었고 특소세
인상방침등 내구소비재에 대한"정책적 요인"이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친게
사실이다. 한마디로 성장의 두바퀴인 투자와 소비 양쪽 모두가 내용면에서
정상적인 경기회복시그널로 받아들이기 곤란한 실정이다.

본사 경기점검반의 현장경기 분석도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이 있긴하나 부정적인 징후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산업전력사용량 <>신설법인 <>항공화물수송량 <>도소매판매
<>주류소비량 등이 증가세를 나타낸 것은 일단 경기호전 조짐으로
받아들일 만하다.

한은이 조사한 기업경기실사지수도 제조업의 경우 3.4분기 77에서
4.4분기엔 97로 개선될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나 <>외화대출 승인실적(10월 6억달러)이 9월(3억달러)보다
줄었으며 <>리스실행실적이 전년동기보다 6% 감소하고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여전히 7월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 경기회복세가
아직 미약하다고 판단할수 있다. 3.4분기중 재고율도 1백11.9
(한은조사)로 과거 경기저점보다 높게 나타나 있다.

이날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소비자태도지수도 4.4분기가 3.4분기
보다 별로 개선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3.분기중 실업률(2.6%)이
작년 평균수준(2.4%)을 웃돌고 있어 고용면에서도 아직은 역부족 이다.

3.4분기 성장율을 경기회복신호로 받아들인다고 해도 그 회복속도는
매우 더딜것이란 쪽으로 해석을 내릴수 있다.

<박영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