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등 야6당이 발의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7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다.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 결과 재적 인원 195명으로, 투표 참여 인원이 의결정족수인 200명에 미치지 못해 자동 폐기됐다.국민의힘 의원들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에 앞서 본회의에 상정된 '김건희 특검법' 재표결에 참여한 뒤 일제히 퇴장했다. 투표에 참여한 의원은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뿐이었다.우원식 국회의장은 "대통령 윤석열 탄핵소추안에 대한 투표가 성립되지 않았다"며 "전 국민이 오늘 국회의 결정을 지켜보고 있다. 세계 각국이 주시하고 있다. 이토록 중대한 국가적 사안에 대해 투표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이어 "민주주의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절차도 몹시 중요하다"며 "이 사안에 대한 투표 불성립은 국가의 중대사를 놓고 가부를 판단하는 민주적 절차조차 판단하지 못한 것이다. 국회를 대표해 국민께 죄송하다"고 말했다.한편, 민주당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또다시 발의하겠다는 계획이다. 오는 10일 정기국회가 종료되면 11일 임시국회에서 곧바로 탄핵안을 재발의해 재차 표결에 부친다는 방침이다.이날 오후 3시부터 국회앞에서는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 사회대개혁! 범국민촛불대행진'이 열렸다. 주최 측 추산 100만, 경찰 비공식 추산은 약 16만명이 모였다.서울 광화문 광장 인근에서는 국회 앞 '윤석열 정권 퇴진 촉구 집회'에 맞서는 '맞불집회'가 열렸다.임형택 기자 taek2@hankyung.com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7일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 의원들은 재신임에 중지를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실적으로 당의 위기 상황에서 원내 지도부 공백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7일 국민의힘 안팎에 따르면 추 원내 대표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 본회의 표결 후 의원총회에서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이날 저녁 권성동 의원 주재로 열린 의원총회에서 추 원내대표를 재신임하자는 의원들의 의견이 이어지면서 투표를 통해 재신임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추 대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사퇴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의원들이 다시 설득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추 원내대표는 이날 대통령 탄핵소추안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안 재의결 반대 당론을 주도했다. 그는 비상 계엄발령 당일 일부 의원들을 국회가 아닌 당사로 부른 탓에 상당수가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면서 비판을 받았다. 그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헌정 사상 세번째 대통령 탄핵 표결이 이뤄진 작금의 상황에 책임을 지고,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이날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다만 한 대표는 아직까지 답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비상 시기에 지도부가 교체되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더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정을 당과 총리에 일임하겠다는 대국민 담화를 냈다. 정소람/박주연 기자 ram@hankyung.com
더불어민주당 등 야6당이 발의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7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 정지가 필요하다"고 말해 급물살을 탔던 윤 대통령 탄핵안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자동 폐기됐습니다.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에 대한 표결을 진행했지만, 표결 결과 재적 인원 195명으로 투표 참여 인원이 의결정족수인 200명에 미치지 못해 자동 폐기됐습니다. 당초 탄핵에 찬성한 야당 의원은 총 192명으로, 국민의힘에서 8명의 이탈표가 나와야 탄핵안이 가결되는 상황이었습니다.투표가 불성립해 개표도 이뤄지지 않았지만, 국민의힘에서 탄핵안에 찬성한 이탈표는 1표 또는 2표에 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날 투표에 참여한 여당 의원은 총 세 명, 김예지·안철수·김상욱 의원인데, 이 중 김 의원은 "당론에 따라 탄핵안에는 동의하지 않았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정치권에서 국민의힘이 윤 대통령에 대한 강한 비판을 이어가면서도 '탄핵안'에 반대한 이유로는 크게 세 가지 정도가 꼽힙니다.첫 번째가 잊을 수 없는 '박근혜 탄핵 트라우마'입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 탄핵에 동참하면 '보수 세력'이 보존될 것이라고 믿은 사람들이 있지만, 결과는 정반대였다는 겁니다.박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정치권에는 '적폐 청산'의 피바람이 불었습니다. 정치권뿐만 아니라 사회 전 분야에 걸쳐서 적폐 청산 명목의 '찍어내기'가 횡행하면서 많은 보수 인사들이 고초를 겪었습니다.두 번째로는 22대 국회 개원 이후 민주당의 막무가내 국회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