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등 금융기관이 예금을 받아 기업에 장기로 대출할 수 있는 장기저
축성예금은 금융실명제 실시후 증가세가 주춤한 반면 언제든지 찾을 수
있는 단기금융상품으로 자금이 대거 몰리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기관들은 자금의 체류기간을 예측할 수 없어 기업에 신
규 대출을 꺼리는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의 요구불예금은 실명제실시후 지난 13~
19일 사이 1조2천2백11억원이 증가한 반면 저축성 예금은 1천6백71억원
이 늘어나는데 그쳤다.

올들어 두차례 실시된 금리인하 때문에 시중자금이 수익이 높은 장기
금융상품에 몰리면서 지난달말 현재 요구불예금은 작년말보다 1조1천1백
88억원이 줄어든 반면 저축서예금은 6조4천5백97억원이나 늘었던 것과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실명제 실시후 시중 부동자금이 주식시장을 가장 선호하면서 역
시 은행의 요구불 예금성격인 고객예탁금은 19일까지 3천5백16억원 늘어
증권사들이 차입금을 2천3백15억원이나 줄이는데 기여했다. 이와달리 은
행권은 자금의 단기예치가 늘면서 신규대출을 꺼리고 있다.

투자신탁회사들은 한은특융상환분 3천억원에 대한 이자부담이 연간 3
백50억원가량 늘어난 가운데 공사채형과 주식형 수익증권 모두 실명제
실시후 수탁고가 감소(13~19일사이 총 3천5백28억원 감소)하면서 자금압
박을 받고 있다.

단자사의 경우 개인고객들에게 인기가 높았던 어음관리계좌(CMA)수신
고가 13~19일중 1천3백42억원 줄었고 주력수신상품인 어음매출도 같은
기간 1천9백36억원 감소하는 등 자금이탈로 타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