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연말부터 97년까지 2조6백70억원의 국고및 지방자치단체
예산으로 광역.단독매립지 소각시설특정처리시설등 2백5개의 각종
폐기물처리시설을 건설키로 했다.

23일 환경처가 발표한 "폐기물 위생처리시설 확충계획"에 따르면 향후
5년동안 <>대도시와 인접 시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광역매립지 14개소를
비롯 <>시군단위의 단독매립지 1백43개소 <>소각시설 42개소
<>특정폐기물처리시설 6개소등을 세우기로 했다.

이같은 폐기물처리시설 건설계획은 현재의 15개소보다 13.7배가 많은
것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폐기물처리 시설건설계획이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치거나 예산부족등으로 흐지부지 되고있는 것을 감안할때 별도의
조치가 없는한 극소수만이 실현될것으로 보인다.

환경처는 재정자립도가 취약한 시군이 위생처리시설 설치를 소홀히하고
있는점을 감안,현재 재특융자 30%를 지원하는 소각시설의 경우 국고보조
20%를 추가하고 광역매립지도 현재 국고보조율을 50%에서 70%로 높이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환경처는 이와함께 전액 지방비로 건설하는 시군단독매립지도
국고지원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환경처 관계자는 "해당지역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시군에서 해결하도록
제반 행정체제를 갖출 것"이라면서 "이를 어긴 행정기관및 처리업자
시민들에 대해서는 문책 고발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에서 하루에 쏟아져 나오는 쓰레기는 <>생활쓰레기 7만5천t
<>산업체폐기물 6만8천t(특정폐기물 1만9천t포함)으로 추산되는데 이중
대부분이 매립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