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이 최근들어 지지부진을 면치못하고 있다.
카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부족탓도 있지만 이보다는 카풀운용을 주도
해야할 교통부 서울시등 관계당국이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어서
이다.
또 촉매격인 민간 카풀중개업소들도 지나치게 영세해 카풀제를 활성화
시키기에는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0일 서울시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출.퇴근시 카풀에 참여하고
있는 차량은 2만5천대를 넘어섰던 지난 91년말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1만7천여대에 불과한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서울의 일반승용차가 1백10만대 수준임을 감안하면 카풀 참여율은 1.5%에
불과한 실정이다.
민간 카풀중개업소도 지난 91년말에는 10여개업체에 달했으나 요즘에는
대부분이 폐업하고 2개업체만 남아 명맥만 유지하고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의 카풀운영체계는 초창기 운전자들끼리 차를 함께타던 방식에서
벗어나 승용차가 없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어 교통난 완화에는 도움
이 되지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교통부와 서울시는 지난90년초만해도 카풀중개업소의 허가조건을 완화하는
한편 직장및 지역단위로 카풀중개소를 설치,운영하는등의 의욕을 보였으나
2~3년이 지난 현재까지 카풀활성화를 위한 정책차원의 후속조치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내 구청과 동사무소는 카풀전담직원을 두고 있지만 지원예산이 한푼
도 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돈안드는 홍보나 일과성의 간담회정도에 의존
하고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