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인상에 대한 대응책으로 직원을 감원하거나 채용을 보류하는 중소
기업이 크게 늘고 있어 중소기업 노동자들의 실업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
인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기협중앙회)가 전국의 8백50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22일 발표한 `중소기업의 92년 임금인상분 흡수대책''에
따르면, 임금인상분을 흡수하는 방법으로 직원을 감원하거나 채용을 보류
하는 업체의 비율이 91년의 3.3%보다 배 이상 늘어난 7.2%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특히 중기업(5.8%)보다는 종업원 20명 미만의 소기업(9.4%)일수
록 감원과 채용보류를 하겠다는 업체 비율이 높았다. 또 감원 등이 뒤따
를 수밖에 없는 사업규모 축소를 계획하고 있는 업체도 91년 3.3%에서 4.
8%로 늘어났다.

반면 임금인상분을 공장.사무자동화를 위한 자동화설비 도입으로 대응
하겠다는 업체의 비율은 91년 30.3%에서 22.2%로 크게 줄었다. 또 임금인
상분을 제품값에 반영하거나 수익률 축소로 흡수하는 업체 비율도 91년에
각각 24.3%와 15.6%에서 92년에는 17.1%와 13.5%로 줄었다.

기협중앙회 김정수 조사부장은 "이른바 3D현상으로 인력난을 겪었던
중소제조업체에도 실업문제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