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이후 약세를 유지해오던 해외원자재 가격이 최근 오름세로
돌아서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달러환율까지 올라 수입해외원자재의 국내
원화가격을 올리는데 가세함으로써 원화가격을 높이고 제조업계의
원가부담을 증가시킬뿐아니라 물가의 위협요인이 되고있으니 결코 방심해선
안될 일이다.

원유 알미늄 아연 원당등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상승폭이 큰데 특히
작년말 배럴당 평균15달러대였다가 5월들어서면서 17달러수준까지 급등하고
있는 원유가격의 상승추세는 유류를 대량소비하는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경제엔 큰 타격이 아닐수없다. 올해 우리나라의 원유도입량은
5억300만배럴에 달할것으로 알려진 만큼 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를때마다
5억달러이상의 외화를 추가부담해야 하는데 만일 유가가 20달러선까지
치솟을 경우 국제수지면에서 20억달러에 가까운 추가부담을 안게된다는
이야기가 되기때문이다.

이같은 유가의 급등을 중동최대산유국인 사우디의 고유가로의 정책전환과
리우데자데이루의 환경회의에서 논의될 탄소세구상에 대한 사우디의
대항조치로 풀이하는 견해도 있으나 작년말보다 모두 오르고있는
원유,비철금속등 국제원자재시세의 상향기조는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완만한
경기회복을 반영한 움직임인만큼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원자재가격동향이 각별히 중시되는 이유는 필요한
원자재의 대부분을 해외공급에 의존하고있고 해외원자재가격의 상승이
곧바로 국내물가 국제수지를 압박함으로써 제조업의 경쟁력강화와 경제의
안정성장에 대해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기때문이다.

대선을 치르는 올해 우리경제의 최대과제는 안정기반의 유지다. 정부는
성장률을 잠재성장률에 가까운 7%수준으로 감속성장을 유도해나가고 물가는
7~8%선,국제수지적자는 70억 80억달러수준으로 관리해나가려하고있다.
그러나 이런 정부의 계획실현에 최대의 복병으로 등장하고 있는 변수가
해외원자재가격과 달러환율의 동향인 것이다.

그러므로 해외원자재가격의 상승에 대응하는 필요물량의 확보책이
있어야한다. 또 달러값의 상승에 대응할 환율의 안정운용이 아울러
촉구된다.

원유등 자원사용을 절감시킬 자원절약적인 합리화 효율화와 함께 조달청의
구상처럼 알루미늄등 주요원자재의 비축을 현재의 20일분에서 2개월분으로
늘리려는 자원비축의 확대확보도 필요하다.

비축확보자금의 조달에 정부가 얼마나 적극적인가가 성패의 관건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