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2주년 맞은 민자 총선후 합당구도 유지 여부 관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집권 민자당이 9일로 창당 2주년을 맞이했으나 차기대권문제와 관련한
3계파간의 첨예한 이해대립으로 14대 총선후에도 합당구도가 유지될
것인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지난 90년1월22일 당시 민정당총재였던 노태우대통령과 김영삼통일민주당
총재 김종필신민주공화당총재등 1노2김은 정국안정을 위한 "구국적 결단"
이라는 명분아래 극적인 3당통합을 선언한데 이어 민자당을 창당했다.
정치권의 대지각변동을 가져온 3당통합은 하나의 역사적 사건으로
인식되었고 노대통령의 정치적 위업으로 여겨질정도로 긍정적 측면도 적지
않았던게 사실이다.
3당합당은 그러나 정치권과 일반국민들로부터 합당자체의 정당성내지
도덕성여부는 물론 합당이후의 정치적 결과에 대해서도 긍정과 부정이
엇갈리는 상반된 평가를 받아왔다.
여권에서는 3당합당으로 정치안정이 이룩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북방외교의
눈부신 성과,남북한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가져왔다고 자체 평가하고있다.
"되는것도 안되는것도 없는"여소야대의 혼란과 비능률을 일거에 제거,
노대통령의 통치력을 강화하고 공권력의 권위를 뒷받침함으로써 모든
분야가 안정되었기 때문에 국내외의 엄청난 악조건속에서도 파국은 막을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반면 야당과 재야는 3당합당이 지역감정을 토대로한 패권주의의 산물이며
대권밀약에 의한 편의적 결합이라는 비판을 끊임없이 제기하고있다.
또 합당직후부터 터져나온 김영삼대표와 박철언의원간의 격돌은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했고 뒤이어 터진 내각제개헌합의각서파동,후계구도를
둘러싼 헐뜯기등은 민자당이 화학적 결합을 이루지못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이같은 당내의 갈등으로 거대여당인 민자당이 오히려 정국불안의 한
요인이었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을수밖에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노대통령과 세최고위원이 14대총선승리를 위해 도덕성과 참신성을
바탕으로 당선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계파를 초월해 공천하겠다고
공언했음에도 이번 공천과정에서 나타난 공천지분확보를 위한 계파간의
감정적 대응은 "한지붕 세가족"의 한계를 보여줬다.
2년간에 걸쳐 명과 암 양면을 함께 보여준 민자당은 이제 합당후 처음
실시되는 국정차원의 14대총선에서 3당합당의 당위성 내지 정당성등을
총체적으로 심판받게 된다.
정치는 현실인 만큼 민자당이 총선에서 압승할 경우 3당합당은 일단
국민적 추인을 받게되나 패배로 귀결지어질 경우 평가차원을 떠나
합당구도유지자체가 흔들릴것이라는게 일반적인 전망이다.
뿐만아니라 차기대권이라는 "핵지뢰"를 안고있는 민자당은 총선성패에
관계없이 간단없는 내부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우선
총선결과가 대패로 나타났을때 현재 후계자로 가장 유리한 위치에있는
김대표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이어져 당은 엄청난 권력싸움의 질곡에 빠질
위험이 없지않다는 지적이다.
노대통령과 김대표가 차기대권문제에 대해 어떤 약속을 주고받았는지는
모르지만 일단 여소야대상황이 재연된다거나 과반수를 간신히 넘는 의석
확보에 그쳤을때 김대표의 후계구도에 반대해온 민정.공화계가 책임론을
들고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후계선출방식이 "전당대회에서의 자유경선"으로 확정된 만큼 총선에서
압승하더라도 후계문제로 인한 내부갈등이 완전히 소진되는 것은 아니다.
일단 선거가 끝나면 퇴임을 앞둔 노대통령의 소속의원에 대한 장악력이
현저하게 떨어질것이고 따라서 노대통령의 "후견"을 믿고있는 김대표에게
민정계의원들이 어느정도나 접근하겠느냐는 시각들이 적지않다.
김최고위원의 공화계 역시 그동안 김대표와 민주계와의 대립 갈등관계로
보아 김대표후계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을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민정계의 박최고위원은 총선후 전당대회에 대비,자신이 민정계 다수에
의해 추대되거나 아니면 민정계 차세대를 지원하는 문제를 신중히
저울질하고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최고위원의 결심여하에따라 차세대 선두주자인 이종 박철언의원등도
행동을 같이할것으로 보이며 이렇게 되면 민자당의 내분은 건곤일척의
"대권내란"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만약 민자당이 3분의 2이상의 개헌선을 확보할 경우 노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어떠한 형태의 개헌도 임기중에 추진하지않겠다"고
분명히 했음에도 내각제개헌세력이 다시 머리를 들 가능성도 없지않다.
이같은 민자당의 장래에대한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노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합당구도는 유지될 것이라는 것이 현재로서는 다수의 분석인것
같다. 이유는 특정계파 단독으로는 정권창출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비록
퇴임을 앞두긴 했으나 노대통령이 당내 세력판도상 최대다수의 직계부대를
거느리고있기 때문이다.
노대통령의 의중이 "합당구도유지와 김영삼후보"일 가능성이 높은게
사실이나 총선과 전당대회간 약 2개월사이에는 계파간 이합집산이
활발할것이고 그 과정에서 분당을 몰고올수있는 여러 변수도 도사리고
있다고 봐야할것이다.
3계파간의 첨예한 이해대립으로 14대 총선후에도 합당구도가 유지될
것인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지난 90년1월22일 당시 민정당총재였던 노태우대통령과 김영삼통일민주당
총재 김종필신민주공화당총재등 1노2김은 정국안정을 위한 "구국적 결단"
이라는 명분아래 극적인 3당통합을 선언한데 이어 민자당을 창당했다.
정치권의 대지각변동을 가져온 3당통합은 하나의 역사적 사건으로
인식되었고 노대통령의 정치적 위업으로 여겨질정도로 긍정적 측면도 적지
않았던게 사실이다.
3당합당은 그러나 정치권과 일반국민들로부터 합당자체의 정당성내지
도덕성여부는 물론 합당이후의 정치적 결과에 대해서도 긍정과 부정이
엇갈리는 상반된 평가를 받아왔다.
여권에서는 3당합당으로 정치안정이 이룩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북방외교의
눈부신 성과,남북한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가져왔다고 자체 평가하고있다.
"되는것도 안되는것도 없는"여소야대의 혼란과 비능률을 일거에 제거,
노대통령의 통치력을 강화하고 공권력의 권위를 뒷받침함으로써 모든
분야가 안정되었기 때문에 국내외의 엄청난 악조건속에서도 파국은 막을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반면 야당과 재야는 3당합당이 지역감정을 토대로한 패권주의의 산물이며
대권밀약에 의한 편의적 결합이라는 비판을 끊임없이 제기하고있다.
또 합당직후부터 터져나온 김영삼대표와 박철언의원간의 격돌은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했고 뒤이어 터진 내각제개헌합의각서파동,후계구도를
둘러싼 헐뜯기등은 민자당이 화학적 결합을 이루지못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이같은 당내의 갈등으로 거대여당인 민자당이 오히려 정국불안의 한
요인이었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을수밖에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노대통령과 세최고위원이 14대총선승리를 위해 도덕성과 참신성을
바탕으로 당선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계파를 초월해 공천하겠다고
공언했음에도 이번 공천과정에서 나타난 공천지분확보를 위한 계파간의
감정적 대응은 "한지붕 세가족"의 한계를 보여줬다.
2년간에 걸쳐 명과 암 양면을 함께 보여준 민자당은 이제 합당후 처음
실시되는 국정차원의 14대총선에서 3당합당의 당위성 내지 정당성등을
총체적으로 심판받게 된다.
정치는 현실인 만큼 민자당이 총선에서 압승할 경우 3당합당은 일단
국민적 추인을 받게되나 패배로 귀결지어질 경우 평가차원을 떠나
합당구도유지자체가 흔들릴것이라는게 일반적인 전망이다.
뿐만아니라 차기대권이라는 "핵지뢰"를 안고있는 민자당은 총선성패에
관계없이 간단없는 내부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우선
총선결과가 대패로 나타났을때 현재 후계자로 가장 유리한 위치에있는
김대표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이어져 당은 엄청난 권력싸움의 질곡에 빠질
위험이 없지않다는 지적이다.
노대통령과 김대표가 차기대권문제에 대해 어떤 약속을 주고받았는지는
모르지만 일단 여소야대상황이 재연된다거나 과반수를 간신히 넘는 의석
확보에 그쳤을때 김대표의 후계구도에 반대해온 민정.공화계가 책임론을
들고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후계선출방식이 "전당대회에서의 자유경선"으로 확정된 만큼 총선에서
압승하더라도 후계문제로 인한 내부갈등이 완전히 소진되는 것은 아니다.
일단 선거가 끝나면 퇴임을 앞둔 노대통령의 소속의원에 대한 장악력이
현저하게 떨어질것이고 따라서 노대통령의 "후견"을 믿고있는 김대표에게
민정계의원들이 어느정도나 접근하겠느냐는 시각들이 적지않다.
김최고위원의 공화계 역시 그동안 김대표와 민주계와의 대립 갈등관계로
보아 김대표후계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을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민정계의 박최고위원은 총선후 전당대회에 대비,자신이 민정계 다수에
의해 추대되거나 아니면 민정계 차세대를 지원하는 문제를 신중히
저울질하고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최고위원의 결심여하에따라 차세대 선두주자인 이종 박철언의원등도
행동을 같이할것으로 보이며 이렇게 되면 민자당의 내분은 건곤일척의
"대권내란"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만약 민자당이 3분의 2이상의 개헌선을 확보할 경우 노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어떠한 형태의 개헌도 임기중에 추진하지않겠다"고
분명히 했음에도 내각제개헌세력이 다시 머리를 들 가능성도 없지않다.
이같은 민자당의 장래에대한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노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합당구도는 유지될 것이라는 것이 현재로서는 다수의 분석인것
같다. 이유는 특정계파 단독으로는 정권창출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비록
퇴임을 앞두긴 했으나 노대통령이 당내 세력판도상 최대다수의 직계부대를
거느리고있기 때문이다.
노대통령의 의중이 "합당구도유지와 김영삼후보"일 가능성이 높은게
사실이나 총선과 전당대회간 약 2개월사이에는 계파간 이합집산이
활발할것이고 그 과정에서 분당을 몰고올수있는 여러 변수도 도사리고
있다고 봐야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