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제수지적자폭을 줄이기위해 올해 항공기 선박등의 신규도입을
억제키로하자 관련업계는 시장개방시대를 맞아 어려움을 겪고있는 업계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조치라며 강력 반발하고있다.
5일 경제기획원 재무부 교통부등 관계당국은 최근 실무자회의를 열고
지난1월 무역적자가 월간 사상최대치인 19억달러를 기록하는등 올
국제수지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자 항공기와 선박의 신규도입을
강력히 억제하기로 의견을 모은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차관규모가 큰 항공기와 선박의 신규도입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국제수지적자폭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있다.
이에 대해 항공.해운업체들은 "정부가 단기적인 국제수지방어에만 급급한
나머지 항공기 선박의 신규도입에 따른 긍정적인 측면을 너무 무시한
단견적인 조치"라며 이를 조속히 철회해 달라고 촉구하고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급증하는 항공여객수요에 대비,올해에
17대(14억달러)를 비롯 오는 99년까지 모두 1백대(1백억달러규모)의
항공기를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도입계획을 전면수정해야할 실정이다.
대한항공관계자는 "국내선 확충과 국제선의 서비스향상을 위해 금년도입분
11대를 지난해말에 계약했으나 정부가 갑자기 이를 축소하라고 압력을
넣고있다"며 "계약을 취소할 경우 국제항공기시장에서 신용이 실추될것은
물론 경쟁력마저 약화되는 부작용을 빚게된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올해 6대의 항공기를 도입키로 했으나 도입대수를
줄일경우 신규노선취항이 불가능할 뿐아니라 계약위반에 따른 배상금
2백만달러를 물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국내외항해운업체들은 매년20%가량 늘어나는 수출입화물의
적기수송을 위해 올해에 1백50만t규모의 신규선박을 확보할 예정이다.
해운업체들은 특히 지난해에 노후선 비경제선의 매각량이 많아 전체
선복량이 지난90년에 비해 22척(16만7천t)이나 감소한 상태여서 올해
선복량확충은 반드시 이뤄져야한다는 입장을 보이고있다.
선주협회관계자는 "8만t규모의 중고원유선(선령2년기준)을 7천5백만달러에
상환10년조건으로 들여올 경우 연간 선가상환액이 8백만달러에 불과하나
운임수입은 1천9백만달러에 달해 오히려 국제수지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선박도입을 억제하게 되면 늘어나는 수출입화물의
수송을 외국선사에 빼앗겨 대외지급운임증가 무역외수지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