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금융시장에서 일본은행들이 빠져나가는 가운데 크레딧크런치
(자금경색)현상이 심화되고있으며 반면 독일 프랑스등 유럽계은행과
싱가포르등 비일본아시아은행이 새로운 자금공급원으로 부상하고있다고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지가 4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90년까지 아시아금융시장에서 최대의 자금공급원역할(약40%)을
해온 일본은행들의 대출비중이 90년이후 일본내의 주가하락과
부동산값하락등으로 최근 20%까지 줄었다고 말하고 이결과 역내
자금경색현상이 심화되고있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일본은행들이 대출을 꺼리게되면서 대신 도이체방크등
독일은행과 프랑스 스위스등 유럽은행 DBS은행 오버시스차이니즈금융공사등
싱가포르은행들이 새로운 주요대출원으로 부상하고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은행들이 차입하는 금리와 대출금리간의 격차가 벌어지면서
이지역에서 활동하는 은행의 대출수익률은 대폭 향상되고있다.
현재 4.25%인 리보금리(런던은행간금리)등 은행간 차입금리는 하락하는
가운데 각종 자금수요자들이 제시하는 대출금리는 이보다 0.25 0.35%포인트
높아지고있으며 심지어 0.5%포인트 높은 경우도 있다.
한편 대출패턴도 변화하고있다.
전통적으로 아시아시장에서 주로 자금조달을 해온 한국 대만등이 최근
유럽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을 늘리면서 아시아지역내(일본제외)장기차관
CP(상업어음)등 총신디케이트론총규모는 91년중 2백34억달러수준으로
전년대비 14% 줄어들었다.
이가운데 상업어음의 비중은 전년대비 60%나 급락했으나 장기차관은
꾸준히 늘고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일본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BIS)이 설립한 최소자금비율에
맞는 자본금을 갖추기전까지 적어도 수년간은 아시아금융시장에서
일본은행들의 비중감소추세가 계속될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