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물가는 지난해에 비해 소비자 9.5%, 도매 3.1%가 각각 오른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30일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12월중 물가동향"에 따르면 이달중
소비자물가는 지난 11월과 같은 보합수준에 머물렀으나 그간의 높은
오름세로 인해 연간 전체로는 물가불안 현상이 지속된 가운데 가까스로
"한자리수"물가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 다.
이같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의 9.4%에 비해서도 0.1%
포인트가 높 은 것으로 지난 81년의 13.8% 이후 가장 높은 오름세를
나타낸 것이어서 향후 물가 안정이 가장 시급한 경제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음을 반영해주고 있다.
이에 반해 도매물가는 12월중 0.6%가 올라 연간 전체로 3.1%의 비교적
낮은 상 승률에 머물렀다.
올해 소비자물가가 이처럼 높은 상승세를 나타낸 것은 농축수산물값이
급등세를 나타낸데다 연초부터 각종 공공요금과 목욕료등 개인서비스
요금이 큰 폭의 오름세 를 나타낸데 따른 것이다.
부문별 물가상승률을 보면 <>개인서비스요금이 18.3%가 올라 가장 높은
오름세 를 나타냈고 다음이 <>농축수산물(11.8%) <>집세(9.5%)
<>공공요금(8.7%) <>석유.연 탄(5.7%) <>공산품(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금년도 물가상승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올해 상승률 9.5% 가운데
농축수산물이 3.45%를 차지해 서민가계에 상당한 부담을 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공공요금이 1.74%, 개인서비스요금이 1.59%, 공산품이
1.39%, 집세가 1.15%를 각각 기여한 것으 로 집계됐다.
특히 공공요금은 내년초부터 전력요금, 국공립대 등록금, 중.고수업료
등이 잇 따라 인상될 예정이어서 새해에도 물가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는 이와 관련, 내년도 공공요금 인상폭을 가급적 5% 수준 내외로
낮추고 인 상시기를 연중 평준화해나가는 한편 개인서비스요금 및 공산품
가격관리를 철저히 해간다는 방침이나 보다 강력한 물가안정대책의 수립을
통해 연초부터 고삐를 단단 히 죄어나가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구나 새해에는 14대총선을 비롯 모두 4차례의 선거가 예정돼있음을
감안할때 <선거인플레> 방지를 위해서는 통화.재정 등 총수요관리를
강화해나가면서 서민가계 와 직결되는 주요 생필품에 대한 수급안정에
만전을 기하는 등 부문별 물가대책을 밀도있게 펴나가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지역별로는 올해 부산이 10.8%로 전국최고의 상승률을 보인 것을 비롯,
<>춘천 (10.5%) <>전주(10.1%) <>마산(10.1%) 등 모두 4개도시가
두자리수의 상승률을 기록 했고 다음이 <>광주(9.8%) <>대전(9.7%)
<>대구(9.6%) 등의 순이었다.
또 서울(9.1%)과 인천(9%), 수원(9%) 등은 상승률이 전국평균을
밑돌았으며 청 주가 8.9%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오름세를 보였다.
한편 12월중에는 명태(14.6%) 등 일부 수산물과 맥주(7.8%), 무우(2%),
배추(1. 7%) 등이 올랐으나 닭고기, 돼지고기, 김, 물오징어 등이
내림세를 나타내 연말물가 로서는 이레적인 안정세를 나타냈다.